오늘은 의외로 많은 초보 입문자 분들이 많이 헷갈려 하시는 이동평균선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이동평균선이란 무엇인가 ?
이동평균선이란 말 그대로 과거 가격들의 데이터를 평균내서 선으로 표현한 지표를 뜻 합니다.
그래서 이동평균선은 추세 추종형의 지표라고도 하는데 여러분들이 흔히 말하는
5일선과 20일선 , 60일선 , 120일 선은 무엇인지 쉽게 풀어서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5일선 = 일봉상 5개의 캔들의 평균 데이터 값
20일선 = 일봉상 20개의 캔들의 평균 데이터 값
60일선 = 일봉상 60개의 캔들의 평균 데이터 값
120일선 = 일봉상 120개의 캔들의 평균 데이터 값
이동 평균선의 예시를 아래의 값으로 설명해보겠습니다.
종가 기준으로 5개의 캔들의 평균값이 이동평균선 위에 그려지는 파란 선이 5일선이 되는 것 입니다.
10일선, 20일선 , 60일선 , 120일선 도 마찬가지로 캔들의 숫자만 늘어날 뿐 의미는 같습니다.
# 이동평균선 돌파의 종류
1. 캔들이 특정 이동평균선 상승 돌파하게 될 경우 이동평균선의 방향은 같이 상승하게 됩니다.
2. 단기 이동평균선 상승 > 중기 이동평균선 상승 (단기,중기 골든크로스)
3. 중기 이동평균선 상승 > 장기 이동평균선 상승 (중기, 장기 골든크로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동평균선 수치
단기 이동평균선 = 5일선 > 현재 캔들부터 과거 5개까지의 평균
중기 이동평균선 = 10일선 > 현재 캔들부터 과거 10개까지의 평균
장기 이동평균선 = 20,60,120선 > 현재 캔들부터 과거 20개,60개,120개까지의 평균
# 조정과 발산의 이해
모든 시세의 움직임은 기본 틀은 조정(약간 쉬어감)과 발산(달려가는 파동)입니다.
일반적으로 상승추세면 어느정도 기간 조정 및 가격 조정 후 강하게 상승으로 발산하는 형태를 띄게 됩니다.
예를 들어보면
대 추세 상승 구간이기 때문에 발산은 상승이 되는 것이고 조정은 하락 파동이 되는 것 입니다.
단기,중기,장기가 모두 상승으로 되었을 때 시세는 상승추세를 의미하고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시세가 배열을
바꾼 뒤 조정 후 발산한다는 원칙을 이용합니다.
#이평선 매수 진입하는 원칙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1차적으로 골든크로스 하게 되면 시세가 단기 이동평균선 위에 올라탈 때까지 기다리며 올라타면 진입합니다. 이평선을 이용하는 기본적인 매수 방법입니다.
#이평선 매도 진입하는 원칙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1차적으로 데드크로스하게 되면 시세가 단기 이동평균선 위에 올라탈 때 까지 기다리며 올라타면 진입합니다. 이평선 매수 진입의 반대라고 쉽게 생각하면 됩니다.
MACD를 이용한 조정 및 발산 방법도 있습니다.
매매기법 MACD 골든크로스 편에 모든게 있으니 이 글을 보시고 골든크로스를 검색하셔서
골든크로스에 관련되어 있는 게시글을 보신다면 보다 이해하시기 편하실 것 입니다.
이렇게 이번 시간에는 이평선에 대해서 설명 드렸습니다. 이렇게 이평선을 이용한 매매법은 상당히 많이 있지만 오늘은 기본적인 부분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이렇게 하나하나 정확하게 파악해 매매기법에 적용하시게 되면 상당히 매매에 도움이 많이 되실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