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XP 경제 일정 보러가기 ]
[ 전일 경제 지표 발표 결과 / 그래프: 이전 지수 대비 ]
📈18:00 유로 - 마킷 종합 구매관지자지수(12월) (★★)
[ 실제: 49.6ㅣ예측: 49.5ㅣ이전: 48.3 ]
📈18:00 유로 - 12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 (★★)
[ 실제: 51.6ㅣ예측: 51.4ㅣ이전: 49.5 ]
📉18:30 영국 - 복합 구매관리자지수(PMI) (12월) (★★)
[ 실제: 50.4ㅣ예측: 50.5ㅣ이전: 50.5 ]
📈18:30 영국 - 12월 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 (★★)
[ 실제: 51.1ㅣ예측: 51.4ㅣ이전: 50.8 ]
📈22:00 독일 - 독일 소비자물가지수 (MoM) (12월) (★★★)
[ 실제: 0.4%ㅣ예측: 0.3%ㅣ이전: -0.2% ]
23:30 연준 - 쿡 연준 이사 연설 (비둘기/투표권 O) (★)
📈23:45 미국 - 12월 S&P 글로벌 서비스업 PMI (★★★)
[ 실제: 56.8ㅣ예측: 58.5ㅣ이전: 56.1 ]
📈23:45 미국 - 12월 S&P 글로벌 마킷 종합 PMI (★★)
[ 실제: 55.4ㅣ예측: 56.6ㅣ이전: 54.9 ]
📉00:00 미국 - 11월 공장 수주(MoM) (★★)
[ 실제: -0.4%ㅣ예측: -0.3%ㅣ이전: 0.2% ]
📈03:00 미국 - 3년물 국채 입찰 (★★)
[ 실제: 4.332%ㅣ이전: 4.117% ]
*금일 주요 일정 (저녁-새벽)
✅ 01월 07일 (화)
19:00 유로 - 11월 실업률 (★★)
[ 예측: 6.3%ㅣ이전: 6.3% ]
19:00 유로 - 소비자물가지수 (YoY) (12월) (★★★)
[ 예측: 2.4%ㅣ이전: 2.2% ]
22:00 연준 - FOMC 위원 바킨 총재 연설 (중립/투표권 X) (★)
22:30 미국 - 11월 무역수지 (★★)
[ 예측: -78.40Bㅣ이전: -73.80B ]
22:55 미국 - 존슨레드북 소매판매지수 (★)
[ 이전: 7.1% ]
00:00 미국 - 12월 ISM 비제조업 고용지수 (★★★)
[ 이전: 51.5 ]
00:00 미국 - 12월 ISM 비제조업 구매자지수(PMI) (★★★)
[ 예측: 53.2ㅣ이전: 52.1 ]
00:00 미국 - 11월 미국 노동부 JOLTS (구인, 이직 보고서) (★★★)
[ 예측: 7.770Mㅣ이전: 7.744M ]
03:00 미국 - 애틀랜타 연은 GDPnow (4분기) (★★)
[ 예측: 2.4%ㅣ이전: 2.4% ]
06:30 미국 - 미국석유협회 주간 원유 재고 (★★)
[ 이전: -1.442M ]
*12월 5주차 주요 일정
✅ 01월 07일 (화)
09:01 영국 - 영국 소매협회 소매판매현황 (YoY) (12월) (★★)
09:30 호주 - 건축승인건수 (MoM) (11월) (★★)
12:35 일본 - 10년물 JGB 국채 입찰 (★★)
16:00 영국 - 핼리팩스 주택가격지수 (MoM) (12월) (★★)
16:00 영국 - 핼리팩스 주택가격지수 (YoY) (12월) (★★)
16:45 프랑스 - 프랑스 소비자물가지수 (MoM) (12월) (★★)
16:45 프랑스 - 프랑스 유로존조화물가지수 (MoM) (12월) (★★)
18:30 영국 - 건설 구매관리자지수 (12월) (★★)
19:00 유로 - 11월 실업률 (★★)
19:00 유로 - 소비자물가지수 (YoY) (12월) (★★★)
22:00 연준 - FOMC 위원 바킨 총재 연설 (중립/투표권 X) (★)
22:30 미국 - 11월 무역수지 (★★)
22:55 미국 - 존슨레드북 소매판매지수 (★)
00:00 미국 - 12월 ISM 비제조업 고용지수 (★★★)
00:00 미국 - 12월 ISM 비제조업 구매자지수(PMI) (★★★)
00:00 미국 - 11월 미국 노동부 JOLTS (구인, 이직 보고서) (★★★)
03:00 미국 - 애틀랜타 연은 GDPnow (4분기) (★★)
06:30 미국 - 미국석유협회 주간 원유 재고 (★★)
✅ 01월 08일 (수)
16:00 독일 - 독일 공장수주 (MoM) (11월) (★★)
16:00 독일 - 독일 소매판매 (MoM) (11월) (★★)
19:00 영국 - 모기지 이자율(GBP) (12월) (★★)
19:00 영국 - BoE 부총재 Woods 연설 (★★)
21:00 미국 - 모기지신청건수 (★)
22:15 미국 - 12월 ADP 비농업 고용 변화 (★★★)
#22:30 연준 - 연준 월러 이사 연설 (중립/투표권 O) (★★)
00:30 미국 - EIA 원유재고 (★★★)
00:30 미국 - 쿠싱 원유 재고 (★★)
03:00 미국 - 30년물 국채 입찰 (★★)
04:00 미국 - FOMC 의사록(회의록) (★★★)
✅ 01월 09일 (목)
09:30 호주 - 소매판매 (MoM) (11월) (★★)
09:30 호주 - 무역수지 (11월) (★★)
10:30 중국 -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MoM) (★★)
10:30 중국 -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YoY) (★★)
16:00 독일 - 독일 무역수지 (11월) (★★)
16:00 독일 - 독일 산업생산 (MoM) (11월) (★★)
18:00 유로 - 유럽중앙은행 월례 보고서 (★★)
22:30 미국 - 연속 실업수당청구건수 (★★)
22:30 미국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
23:00 연준 - FOMC 멤버 하커 총재 연설 (중립/투표권 X) (★★)
00:00 미국 - 11월 도매재고 (★)
02:40 연준 - FOMC 바킨 총재 연설 (중립/투표권 X) (★)
03:30 연준 - 켄자스 연은 총재 슈미드 연설 (중립/투표권 O) (★)
03:35 연준 - FOMC 위원 보우먼 이사 연설 (매파/투표권 O) (★★)
06:30 연준 - Fed's Balance Sheet (★★)
*미국 - 개천절 휴장
✅ 01월 10일 (금)
08:30 일본 - 11월 가계지출 (MoM) (★★)
08:30 일본 - 11월 가계지출 (YoY) (★★)
16:45 프랑스 - 11월 프랑스 소비자지출 (MoM)(★★)
18:40 중국 - 신규 대출 (12월) (★★)
22:30 캐나다 - 고용변동 (12월) (★★)
22:30 캐나다 - 건축승인건수 (MoM) (12월) (★★)
22:30 미국 - 12월 미국 평균 시간당 임금(MoM) (★★★)
22:30 미국 - 12월 비농업 고용지수(취업자수) (★★★)
22:30 미국 - 12월 실업률 (★★★)
00:00 미국 - 1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
00:00 미국 - 1월 미시간대 기대인플레이션 (★★)
03:00 미국 - 베이커휴즈 총 시추기수 (★★)
*美 금리 4.50% 3연속 인하 [0.25%↓] (스몰컷)
✅[발표 : 4.50% | 예측 : 4.50% | 이전 : 4.75%]
📅 2025년 FOMC 일정
✅ 1회차 - 1월 30일(목) 04:00 (Soon)
✅ 2회차 - 3월 20일(목) 03:00
✅ 3회차 - 5월 08일(목) 03:00
✅ 4회차 - 6월 19일(목) 03:00
✅ 5회차 - 7월 31일(목) 03:00
✅ 6회차 - 9월 18일(목) 03:00
✅ 7회차 - 10월 30(목) 03:00
✅ 8회차 - 12월 11일(목) 04:00
📊 국가별 기준금리
📉미국 4.50% (*12월 19일, -25%p 인하)
📉유럽 3.15% (*12월 12일, -25%p 인하)
📈일본 0.25%
📈한국 3.00%
*01월 07일 COMMENT: 트럼프 관세고수, 트뤼도 사임
개요
젠슨 황 CEO의 발언을 앞두고 엔비디아 주가가 급등하며 뉴욕증시 상승을 이끌었다. 마이클 바 금융 감독 연준부의장 사임, 트뤼도 캐나다 총리의 사임, 미국채 금리 상승, 트럼프 관세 정책 논란, 멀티전략 헤지펀드 경쟁 등 시장에 영향을 미친 다양한 이슈들이 주목받았다.
1. 트럼프 ‘관세 정책 축소 없다’
트럼프는 관세 정책 축소설을 강하게 부인하며 기존 방침 유지를 강조했다.
- 관세 유지 선언: 트럼프는 워싱턴포스트 보도를 부인하며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한 관세 정책 유지를 명확히 했다.
- 달러 가치 변동: 관세 논란으로 달러가 주요 통화 대비 하락했으나, 트럼프 발언 이후 낙폭이 줄었다.
2. 트뤼도 캐나다 총리, 9년 집권 끝에 사임
캐나다의 트뤼도 총리가 정치적 혼란 속에서 사임을 결정했다.
- 지지율 하락과 내부 반란: 트뤼도는 인플레이션 및 금리 급등에 따른 정치적 압박 속에서 사임을 발표했다.
- 후임 후보: 크리스티아 프리랜드, 마크 카니 등 주요 후보들이 거론되고 있다.
3. 마이클 바, 금융 감독 담당 연준부의장직 자진사퇴
금융 감독 강화의 핵심이었던 마이클 바 부의장이 사임을 발표했다.
- 규제 정책의 미래 불확실성: 바의 사임으로 은행 자본 요건 강화 계획이 흔들릴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 금융 시장 반응: 규제 완화 기대감 속 KBW 은행주가지수는 상승했다.
4. 모간스탠리, 금리 급등으로 주식시장 리스크 경고
금리 상승과 달러 강세가 주식시장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을 모간스탠리가 경고했다.
- 금리와 시장 상관관계 악화: 10년물 금리 상승이 S&P 500 지수와의 상관관계를 부정적으로 바꿨다고 진단했다.
- 시장 시나리오: 금리 안정, 달러 약세 등의 조건이 충족될 경우 시장 개선 가능성을 언급했다.
5. 멀티전략 헤지펀드 인재 전쟁
헤지펀드 업계가 경쟁적인 인재 확보와 보상 체계 강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 이직 금지 기간 연장: 시타델은 이직 금지 기간을 21개월로 연장하며 업계 경쟁력을 높였다.
- 보상 체계 강화: 고액 보너스와 환수 조항 등의 인재 유지 방안이 확대되고 있다.
6. 엔비디아와 뉴욕증시 상승 주도
엔비디아 주가 급등과 기술주 상승이 뉴욕증시를 이끌었다.
- 엔비디아 주가 상승: 젠슨 황 CEO의 발언 기대감 속 엔비디아 주가는 장중 5% 이상 상승했다.
- 기술주 랠리: 엔비디아를 비롯한 기술주의 강세가 시장 전체를 상승세로 이끌었다.
결론
금융, 정치, 기술 등 다양한 요인이 시장에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다.
특히, 관세 정책, 금리 상승, 엔비디아 주가 등은 향후 시장 방향을 결정할 주요 변수로 주목받고 있다.
*출처
- Bloomberg 인텔리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