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지방 등 서울 외 거주자의 서울 아파트 원정 매입 비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똘똘한 한 채’ 열풍과 안전자산 선호 현상으로 서울 아파트 매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23일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거주지별 아파트 거래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외 거주자(이하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율은 21.5%로, 이는 2006년 관련 조사가 시작된 이후 연간 기준 역대 최고 수준이다.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은 최근 들어 예년에 비해 더 심화하고 있다.
2006년 외지인 서울 아파트 매입 비율은 17.8%를 기록한 이후 10년 동안 17∼18%대의 비슷한 비율을 유지해 왔다. 이후 2017년 19.9%로 늘어난 뒤 2021년 처음으로 20.0%로 올라섰다. 아파트값이 급락하며 거래 절벽이 심화했던 2022년 18.7%로 주춤했다가 2023년에 다시 20%대(20.9%)를 회복했다.
주택 업계에서는 지난해 외지인들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율이 증가한 이유로 ‘금리 인상 영향’을 지목한다. 아파트값이 급락한 이후 전세사기와 빌라 기피 현상 등 부동산 시장의 ‘안전자산’ 격인 서울 아파트로 매수자들이 몰리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다주택자 규제로 주택시장이 실수요자 위주로 재편된 가운데 2023년 특례보금자리론, 2024년 신생아 특례대출 등 정책대출을 이용해 서울 아파트 시장 입성을 노린 내 집 마련 수요와 갈아타기 수요가 증가한 것은 외지인들의 서울 아파트 매입에 영향을 줬을 것으로 봤다.
이 기간 구별로 외지인 서울 매입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강동구(27.3%)였다. 광진구와 은평구 또한 각각 25.6%, 25.3%로 2006년 이후 외지인의 매입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금천구(24.7%), 영등포구(24.0%), 용산구(23.6%), 마포구(22.7%), 송파구(22.5%), 서대문구(22.2%) 등지도 외지인 매입 비율이 서울 평균을 웃돌았다.
반면 아파트값이 가장 비싼 강남구와 서초구는 외지인 매입 비율이 각각 21.5%, 21.2%를 차지하며 전년도(강남구 22.6%, 서초구 25.0%)보다 감소했다. 이에 대해 지난해 강남권 아파트값이 급등하며 가격 부담이 커지자 상대적으로 외지인의 매입 비율은 감소하고, 서울시 내 거주자의 매수가 늘었다는 업계의 평가가 나온다.
올해 서울 강남권의 외지인 매입 비율이 더 가팔라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최근 서울 강남구 대치·삼성동, 송파구 잠실 일대가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됐기 때문이다.
정성진 어반에셋매니지먼트 대표는 “집값과 전셋값 차이가 커지면 전세를 끼고 아파트를 매입하는 ‘갭투자’ 수요자들이 대거 몰릴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서울 거주자의 지방 아파트 원정 매입 비중은 5.5%로 7∼8%대에 이르던 예년보다는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다주택자 규제와 고금리 등의 여파로 전반적인 지방 투자 수요가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매일경제 백지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