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불확실성이 향후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데 최대 난제라고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위원들이 5일(현지시간) 잇따라 지적했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의 오스틴 굴스비 총재는 이날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연례 자동차 심포지엄 연설에서 "미국 경제가 강세를 보이고 있고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이 하락해 연준의 2% 목표에 가까워지고 있다"면서도 "대규모 관세 위협과 무역전쟁 격화 가능성 등 공급망에 대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밝혔다.
이어 "올해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거나 상승세가 멈춘다면 연준은 인플레이션이 과열에서 비롯된 것인지 관세 때문인지를 파악해야 하는 어려운 입장에 처할 것"이라며 "이런 구분은 연준이 행동에 나서야 할 시기나 행동 여부를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관세가 더 많은 국가나 더 많은 상품에 적용되거나 더 높은 비율로 부과될 수 있다"며 "이런 경우 영향이 더 크고 오래 지속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주도하는 관세의 잠재적 인플레이션 영향을 무시해선 안 된다는 얘기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일 캐나다와 멕시코에 부과하기로 한 25% 관세는 한달 동안 유예하기로 했지만 중국에 부과하는 10% 추가 관세는 예정대로 시행했다.
토마스 바킨 리치몬드 연방준비은행 총재도 이날 뉴욕에서 열린 콘퍼런스 보드 행사 후 기자들과 만나 "인플레이션과 수요에 미치는 궁극적인 영향을 파악하는 데 관세 수준과 누구에게 부과되는지에 대한 불확실성, 보복관세 여부와 기업의 수입비용 전가 여부, 소비자에 대한 영향 등 복잡성이 많다"고 말했다.
바킨 총재는 다만 "최근 정책 입안자들의 전망에서 기울기는 여전히 올해 추가 금리 인하를 향해 있다"고 밝혔다.
연준은 지난달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첫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를 4.25~4.5%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연준은 지난해 9~12월 세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5.25%~5.50%에서 4.25~4.5%로 인하했다.
머니투데이 심재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