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갈등에 휘말린 미국 빅테크 기업 애플이 중국의 반(反)독점법 위반 조사를 앞두고 있다.
5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은 소식통을 인용, 중국 반독점 규제 기관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SAMR)이 인앱결제에 최대 30% 수수료를 부과하고 외부 결제를 금지하는 애플의 앱스토어 정책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중국 SAMR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 전인 지난해부터 애플 경영진 및 앱 개발자들과 이 사안에 대해 논의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SAMR은 구글에 대한 조사를 지난 2019년 처음 시작한 바 있다. 이후 수년 동안 보류돼던 조사는 지난해 12월 트럼프 취임을 앞두고 재개됐다.
엔비디아에 대한 조사는 지난해 말 재개됐다. 엔비디아는 지난 2019년 컴퓨터 네트워킹 장비를 만드는 이스라엘 회사 멜라녹스 테크놀로지스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중국 당국과 한 약속을 위반했다는 혐의를 받는다.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 규제 당국은 애플이 현지 개발자들에게 부당하게 높은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다고 생각하며 외부 앱스토어 결제 서비스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은 경쟁을 저해하고 소비자들에게 피해를 준다고 생각한다”며 “애플이 정책을 변경하지 않을 경우 중국 당국은 공식적인 조사를 시작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애플은 지난해 유럽연합(EU)의 견제를 받기도 했다. 이에 애플은 EU의 디지털시장법에 따라 앱 내에서 다른 플랫폼이나 웹사이트로 연결할 수 있는 아웃링크를 허용한 바 있다.
미국 빅테크 업계에서는 이번 조사가 기업에 미칠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지만 벌금 부과로 이어질 경우 글로벌 매출에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앞서 중국은 지난 2013년 퀄컴을 대상으로 반독점 조사를 진행, 9억7500만달러(약 1조3960억원)의 벌금을 부과한 적이 있다. 이는 당시 중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벌금이자 주요 해외 기술 기업에 대해 벌인 마지막 조사다.
매일경제 안서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