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연합(EU)에도 관세 부과를 경고한 가운데 EU 측은 트럼프 대통령과 조기 협상을 원한다고 밝혔다.
4일(현지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마로스 세프코비치 EU 통상담당 집행위원은 이날 기자들을 만나 미국과 조기 협상을 원한다며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 지명자의 인준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즉시 관여할 준비가 돼 있다"며 "조기 개입을 통해 지구상에서 가장 중요한 무역과 투자 관계에 혼란을 던질 조치를 피할 수 있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EU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미 두 차례 관세 부과를 유예한 만큼 미국과 대화를 통해 관세 폭탄을 피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6일 불법 이민자 수용에 비협조적인 콜롬비아에 25% 관세 부과를 예고했다가 양보를 얻어내며 막판 보류했고, 4일엔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관세 부과하려다 정상들과 통화 후 30일 유예하기로 극적 합의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상대로는 4일부터 10%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 상대로 EU를 점찍은 상태다. 그는 2일 "EU에 대한 관세는 확실히 시행될 것"이라며 "미국은 EU와 무역으로 3000억달러(약 438조3000억원)의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시기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으나 "매우 곧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재 EU의 모든 수입품에 10% 관세 부과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직 EU 행정부 수장 격인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 공식적으로 접촉하지 않았다. EU 관계자들은 미국 행정부 내 카운터파트를 찾고 있지만 장관 지명자들의 상원 인준이 끝나지 않아 사정이 여의치 않다고 털어놨다. EU는 내부적으로 보복 관세와 같은 강경 조치들도 논의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머니투데이 윤세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