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도권 전세가율 상승으로 ‘매매 갈아타기’ 수요가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전세가율은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비율로, 전세가율이 높을수록 집값과 전세 가격의 차이가 줄어드는 것을 의미한다. 전세가율이 높아지면 매매가격과 차이가 적어 전세에서 매매로 갈아타는 수요가 많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5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 아파트 평균 전세가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2월 수도권 전세가율은 62.2%를 기록했다. 같은 해 1월 전세가율이 60.8%였음을 감안하면 1.4%포인트(p) 상승한 수치다.
수도권 지역에서 전세가율이 가장 높게 상승한 지역은 인천 67.6%(3.3%p 상승)과 경기 65.5%(1.7%p 상승), 서울 54.2%(0.2%p 상승)순으로 집계됐다. 전국은 지난해 12월 67.8%의 전세가율을 기록해 같은해 1월(66.8%) 대비 1%p 상승했다.
전세가율이 높아지면서 수도권 아파트 매매거래량 역시 급증하는 모습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1월~11월) 수도권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20만9435건을 기록했다. 이는 2023년(1월~12월) 수도권 아파트 매매거래량(16만6720건)에 비해 4만 건 이상 많아진 수치다.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앞으로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도 줄어들고 있어 전세 매물의 희소성은 더욱 부각될 전망”이라며 “전세가율 높아지고 있는 수도권 지역에서 인기 아파트 공급이 이어져 수요자들의 매매전환을 부추길지 관심이 집중된다”고 밝혔다.
한편 전세가율이 상승하고 있는 수도권 지역에 새 아파트 물량이 공급되고 있다. 삼성물산은 인천 연수구 옥련동 일원에 건립되는 ‘래미안 송도역 센트리폴 1·2블록’을 분양 중이다. 래미안 송도역 센트리폴은 송도역세권구역 도시개발사업지에 위치해 있으며 최고 40층 높이 아파트 19개 동, 2549가구 규모의 대단지로 조성될 예정이다.
앞서 분양을 마친 3블록(1024가구)를 제외한 1블록(706가구)과 2블록(819가구)이 분양되고 있다. 삼성물산이 시행부터 시공까지 맡아서 하는 자체 개발 사업으로, 부지 내 위치한 상업용지는 송도역과 연계돼 신흥 상권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인천발 KTX와 월곶판교선 교통 호재 등을 품고 있어 높은 미래가치도 갖췄다.
DL이앤씨는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 915번지 일원에 조성 중인 ‘아크로 베스티뉴’를 분양 중이다. 지하 3층~지상 37층 10개 동, 총 1011가구 규모로 범계역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는 역세권 입지를 갖췄다.
매일경제 박재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