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4일 체코 프라하 총리실에서 요젭 시켈라(Jozef Sikela) 체코 산업통상부 장관과 면담을 하고 있다. (산업부 제공) 2024.7.25/사진=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체코 원전 수주와 관련한 덤핑 논란에 대해 "한국수력원자력 중심으로 우리 원전 산업계의 기술력과 사업관리 능력이 압도적으로 뛰어나다는 것을 보여주는 이야기"라고 강조했다.
안 장관은 이날 KBS 시사프로그램에 출연해 "가격이 덤핑 수준으로 싸서 결정 된 것이 아니라 시간 내 사업을 끝낼 수 있는 기술력에 대한 신뢰 등이 바탕이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체코의 한 경제지가 세계원자력기구(IAEA)의 원전 시공가격 단가 추정치를 바탕으로 한국의 원전 시공 가격이 덤핑 수준이라는 기사를 보도한 바 있다.
안 장관은 이와 관련해 "지난주 특사로 체코를 방문했을 때 현지 언론에서 (프랑스와의) 가격 단가 차이가 크지 않았다고 보도됐다"며 "결국 우리가 압도적으로 나가다보니 입찰할 때도 프랑스 측에서도 (가격을) 맞추려고 노력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60% 현지기업 참여와 현지 노동력 우선 고용 등의 '조건'이 결국 우리에게 불리하게 작용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는 "24조원 사업으로 우리가 혼자 다 하지 못한다"며 "경쟁력 있는 체코 기업들과 함께 해야 하고 우리 기업도 체코에 진출해서 체코 원전 생태계의 경쟁력 키우는 작업을 하려고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렇게 키운) 우리 경쟁력이 제3국 , 유럽연합(EU)에 원전이 확대되는데 큰 자산이 될 것으로 본다"며 "(현지 엄격한 노동시간 규제 등도) 체코에는 100개 넘는 기업이 나가서 1만4000명을 고용해서 사업한 경험 있으니 그런 부분들도 잘 관리해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안 장관은 미국 원전 기업 웨스팅하우스와의 지적 재산권 다툼에 대해서는 "한수원과 웨스팅하우스간 기술사용 권한과 관련한 이견이 있고 법적 소송이 진행중인데 이 문제를 법적으로 풀지, 다른 형태로 원만하게 해결할 지 양자간 적극적인 협의가 이뤄지는 것으로 안다"며 "미국 정부와 우리도 양자간 원만한 협의가 진행되도록 정부 차원서 여러가지로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안 장관은 전기요금 정상화와 관련해 하반기 인상을 시사했다. 그는 "지금 민생과 물가 상황을 봤을 때 전력 수요가 폭증하는 하절기에 (요금 인상을) 하기는 어렵다"며 "하절기 지나고 나서 관계 부처 협의후 적정 시점과 정상화 수준을 협의해서 하반기에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가스요금 추가 인상에 대해서도 "오는 8월부터 6.8% 인상하기로 발표했는데 그것으로 충분한지 봐야한다"며 "한국가스공사도 재무구조가 어려운 상황이라 필요하다면 (인상)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