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드랍 게시판 TOP5

경제 게시판
경제
미 혁신의 상징, 나스닥 사상 처음으로 2만 넘어
1
거지경제
12-13
조회수 1
추천 0


나스닥 마켓사이트 외부 전광판 모습. /로이터 뉴스1


미국 테크 기업들을 대표하는 나스닥 지수가 11일 전날보다 1.77% 오른 2만34.89로 마감하며 사상 처음으로 2만 선을 돌파했다. 1971년 100으로 출범한 지 53년 만이고, 2020년 6월 1만 선을 돌파한 지 4년 6개월 만이다.


나스닥 강세는 빅테크가 이끌었다. ‘M7(magnificent 7)’로 불리는 7개 대형 기술주 가운데 애플과 알파벳(구글 모기업), 아마존, 메타(페이스북 모기업), 테슬라 등 5곳이 장중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미국 11월 물가 상승률(2.7%)이 시장 예상치에 부합했고, 알파벳이 초고성능 양자 컴퓨터를 개발했다는 소식이 호재로 작용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규제 완화와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기대감도 나스닥 강세를 뒷받침하고 있다.


나스닥 시장은 원래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 상장하기 어려운 벤처기업들의 자금 조달을 위해 만든 장외시장이었다. 작은 벤처로 시작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한 빅테크들이 나스닥에 많이 상장돼 있는 이유다. 지금도 나스닥 시장에 상장된 3000여 기업 중에는 다우평균이나 S&P500에 편입되지 못한 신생 기술 기업이나 바이오 테크 기업들이 많이 포함돼 있다.


미국 경제가 첨단 빅테크 중심으로 체질을 바꾸면서 나스닥 시장도 동반 성장해 지금은 NYSE에 이어 세계 2위 증권거래소가 됐다. 나스닥 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의 주가를 가중평균해서 구하는 나스닥 지수는 1995년 7월 1000을 돌파한 데 이어 닷컴 버블이 한창이던 2000년에 5000을 넘었지만 버블이 꺼진 2001년엔 1000대로 다시 주저앉았다. 하지만 이후 꾸준히 오르며 코로나 사태로 언택트(비접촉) 경제가 활성화된 2020년 1만을 넘었고, 다시 4년 만에 2만을 돌파했다.


그래픽=이진영


나스닥 지수는 올 들어 33.46% 올랐다. 미국 3대 지수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대형 우량주 30개를 모은 다우평균(17.14%)과 대기업 500개를 모은 S&P500(27.56%)을 뛰어넘는 상승세다.


나스닥 지수 2만 돌파는 “미국 경제가 정보통신기술(IT) 빅테크 중심으로 혁신 전환에 성공했다는 의미”라고 전문가들은 평가했다. 이승준 중앙대 교수는 “빅테크 기업들이 쌓아올린 성과와 미래 성장 기대감이 반영된 현상”이라며 “빌 게이츠나 스티브 잡스, 일론 머스크 같은 천재적인 기업가들이 주도한 혁신이 리플 효과(파도처럼 번지는 연쇄 효과)처럼 모든 벤처기업으로 확산됐다”고 말했다.


이혜운 기자 liety@chosun.com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게시물과 관련없는 정치댓글 작성시 강력제재 이용정지 처리합니다.
분류
제목
경제
BEST🔥
테슬라: 일론 머스크, 중국 리스크 속에서도 반등 랠리를 이어갈 수 있을까?
(2)
2024-12-18
105
3
1
이더클고A련
경제
BEST🔥
마이클 세일러, 비트코인 추격 매수… “100만 달러 돼도 멈추지 않는다”
(6)
2024-12-16
305
65
8
경제경제
경제
BEST🔥
이더리움, 비트코인 따라잡을까? 4천달러 돌파가 관건
(3)
2024-12-16
153
22
8
코인
경제
배달수수료, 배달의민족 2월말·쿠팡이츠 3월말부터 내린다
(0)
2025-01-23
1
0
8
경제경제
경제
티메프 우선 환불 445억원…여행·숙박 환불 절차는 '진행형'
(0)
2025-01-23
1
0
8
경제경제
경제
성장률 갉아먹은 계엄…작년 GDP, 2% 턱걸이
(0)
2025-01-23
1
0
8
경제경제
경제
스마트폰 저물어도 '안드로이드'는 영원히…삼성·구글의 OS 전략
(0)
2025-01-23
2
0
8
경제경제
경제
설 연휴 미장 가볼까…환율 장벽 넘어 '우르르'
(0)
2025-01-23
1
0
8
경제경제
경제
뉴욕 증시 훈풍에 환율 하방 압력…1437.0원 개장
(0)
2025-01-23
1
0
8
경제경제
경제
"미장 쭉쭉 오르던데"…SK하이닉스 주가 뚝, '역대급 실적' 무색
(0)
2025-01-23
1
0
8
경제경제
경제
코스피, 외인·기관 팔자에 약세장 지속
(0)
2025-01-23
1
0
8
경제경제
경제
중국 증시부양책 발표에 중화권 증시 간만에 '활짝'[Asia오전]
(0)
2025-01-23
1
0
8
경제경제
경제
“日 소프트뱅크 천억 달러는커녕 백억 달러도 없다”...트럼프 AI 발표에 직격탄 날린 머스크
(0)
2025-01-23
1
0
8
경제경제
경제
英 BBC, “우크라이나 파병 북한명 1000명 사망”
(0)
2025-01-23
2
0
8
경제경제
경제
공적자금 회수율 72%…작년 4분기 2099억 회수
(0)
2025-01-23
2
0
8
경제경제
경제
공수처, 尹 사건 검찰로 송부 기소 요구…공은 특수본에
(0)
2025-01-23
1
0
8
경제경제
경제
"트럼프 관세, 잘 쓰면 건설적"…월가, 긍정론으로 방향 전환?
(0)
2025-01-23
1
0
8
경제경제
경제
트럼프 "러, 우크라전 안 끝내면 관세"…SNS 재차 압박
(0)
2025-01-23
2
0
8
경제경제
경제
720조 AI 투자 '트럼프 랠리' 지속…S&P 장중 신고가
(0)
2025-01-23
2
0
8
경제경제
경제
관세 이어 세금전쟁까지…"미국기업 차별국에 2배 보복과세"
(0)
2025-01-23
2
0
8
경제경제
경제
엔비디아, AI 수혜주에서 트럼프 수혜주로?…"AI 투자금 흡수할 것"
(0)
2025-01-23
3
0
8
경제경제
경제
코스피, 하루만에 다시 2520선 후퇴
(0)
2025-01-23
2
0
8
경제경제
경제
뉴욕증시, '트럼프 AI 투자 확대' 기대에 상승 마감
(0)
2025-01-23
2
0
8
경제경제
김치프리미엄(김프) 실시간 김프가를 확인 할 수 있는 익스체인지 플러스(explus.co.kr, 익플)는 사이트 내 모든 암호화폐 가격 및 투자 관련 정보에 대해 어떠한 책임을 부담하지 않습니다. 디지털 자산 투자는 전적으로 스스로의 책임이므로 이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김치프리미엄(김프) 실시간 김프가를 확인 할 수 있는 익스체인지 플러스(explus.co.kr, 익플)는 사이트 내 모든 암호화폐 가격 및 투자 관련 정보에 대해 어떠한 책임을 부담하지 않습니다.
디지털 자산 투자는 전적으로 스스로의 책임이므로 이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29번길 10, 3층 (역삼동, 정안빌딩) | 퓨처스엔터테인먼트(주) | 박희성 | 270-88-03055
logo_black© 2025 익스체인지 플러스 - 익플,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