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드랍 게시판 TOP5

경제 게시판
경제
코스피 ‘엑소더스’… 물가도 요동친다
1
거지경제
12-21
조회수 4
추천 0

내·외풍 맞은 한국경제


외인 하루에만 8000억 매도 폭탄

11월 공급물가 7개월만 최대 상승

“경제성장률 하락 폭 더 커질 수도”

코스피가 장중 2,400선이 붕괴된 20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종가가 표시돼있다. 연합뉴스


한국 금융시장이 계엄·탄핵 후폭풍과 미국발 환율 쇼크에 짓눌리고 있다. 증시는 이틀째 급락했고, 국고채 금리는 일제히 올랐다(국고채 가치 하락). 고환율로 수입 물품 가격이 오르면서 진정 기미를 보였던 물가마저 들썩이고 있다. 내수 부진에 빠진 한국 경제에 ‘위기의 먹구름’이 짙어졌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의 대규모 이탈에 이틀째 내리막을 걸었다. 장중에 ‘심리적 저지선’인 2400이 무너지기도 했다. 장 마감 직전에 간신히 회복하며 전일 대비 31.78포인트(1.30%) 내린 2404.15에 마감했다.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이날 하루에만 8212억원어치를 팔았다. 전날보다 매도 규모가 커졌다. 코스닥도 16.05포인트(2.35%) 내린 668.31로 장을 마쳤다.


전문가들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매파적 금리 인하 결정에 따른 충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정책 리스크를 원인으로 본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국 의회에서 임시예산안 부결로 연방정부 셧다운 위기가 고조돼 불안 심리가 확산됐다. 또 ‘네 마녀의 날’(4가지 파생상품 동시 만기일)과 미국의 11월 개인소비지출(PCE) 발표 등도 증시에 악영향을 끼쳤다”고 분석했다.


원·달러 환율은 이틀째 1450원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 민경원 우리은행 연구원은 “연준의 매파적 금리 전망과 일본은행의 금리 동결이 달러 강세, 엔화 약세라는 원화에 부정적인 환경을 조성했다”며 “(한국 증시에서) 외국인의 순매도가 계속되고 있어 환율 불안이 이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고환율 여파에 물가는 요동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공급물가지수(국내 생산품과 수입품 가격을 함께 측정한 지수)는 10월 대비 0.6% 상승하며 지난 4월(1.0%)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공급물가는 원·달러 환율 상승 등의 영향으로 수입 물가가 뛰면서 생산자물가보다 상승 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생산자물가는 10월보다 0.1% 올랐다. 8월(-0.2%) 이후 하락세였으나 지난달에 상승 전환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의 선행지수다. 이 팀장은 “시차를 두고 생산자물가나 소비자물가에도 반영될 전망”이라고 했다. 김영익 서강대 교수는 “국내 수요가 많이 위축돼 있어 물가가 급격히 오를 가능성은 크지 않다”면서 “만약 물가가 오르면 임금이 정체된 상황에서 실질소득이 줄게 되고, 소비가 더 위축돼 경제성장률 하락 폭이 커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기준금리를 인하할 수도 없게 된다”고 내다봤다.


한편, 정부는 환율 급등에 대응하기 위해 은행의 선물환포지션 한도를 50%에서 75%로, 외국은행 지점의 경우 250%에서 375%로 상향하는 등 외환 수급개선 대책을 시행하기로 했다.


장은현 기자(eh@kmib.co.kr)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게시물과 관련없는 정치댓글 작성시 강력제재 이용정지 처리합니다.
분류
제목
경제
BEST🔥
테슬라: 일론 머스크, 중국 리스크 속에서도 반등 랠리를 이어갈 수 있을까?
(2)
2024-12-18
105
3
1
이더클고A련
경제
BEST🔥
마이클 세일러, 비트코인 추격 매수… “100만 달러 돼도 멈추지 않는다”
(6)
2024-12-16
305
65
8
경제경제
경제
BEST🔥
이더리움, 비트코인 따라잡을까? 4천달러 돌파가 관건
(3)
2024-12-16
153
22
8
코인
경제
배달수수료, 배달의민족 2월말·쿠팡이츠 3월말부터 내린다
(0)
2025-01-23
1
0
8
경제경제
경제
티메프 우선 환불 445억원…여행·숙박 환불 절차는 '진행형'
(0)
2025-01-23
1
0
8
경제경제
경제
성장률 갉아먹은 계엄…작년 GDP, 2% 턱걸이
(0)
2025-01-23
1
0
8
경제경제
경제
스마트폰 저물어도 '안드로이드'는 영원히…삼성·구글의 OS 전략
(0)
2025-01-23
2
0
8
경제경제
경제
설 연휴 미장 가볼까…환율 장벽 넘어 '우르르'
(0)
2025-01-23
1
0
8
경제경제
경제
뉴욕 증시 훈풍에 환율 하방 압력…1437.0원 개장
(0)
2025-01-23
1
0
8
경제경제
경제
"미장 쭉쭉 오르던데"…SK하이닉스 주가 뚝, '역대급 실적' 무색
(0)
2025-01-23
1
0
8
경제경제
경제
코스피, 외인·기관 팔자에 약세장 지속
(0)
2025-01-23
1
0
8
경제경제
경제
중국 증시부양책 발표에 중화권 증시 간만에 '활짝'[Asia오전]
(0)
2025-01-23
1
0
8
경제경제
경제
“日 소프트뱅크 천억 달러는커녕 백억 달러도 없다”...트럼프 AI 발표에 직격탄 날린 머스크
(0)
2025-01-23
1
0
8
경제경제
경제
英 BBC, “우크라이나 파병 북한명 1000명 사망”
(0)
2025-01-23
2
0
8
경제경제
경제
공적자금 회수율 72%…작년 4분기 2099억 회수
(0)
2025-01-23
2
0
8
경제경제
경제
공수처, 尹 사건 검찰로 송부 기소 요구…공은 특수본에
(0)
2025-01-23
1
0
8
경제경제
경제
"트럼프 관세, 잘 쓰면 건설적"…월가, 긍정론으로 방향 전환?
(0)
2025-01-23
1
0
8
경제경제
경제
트럼프 "러, 우크라전 안 끝내면 관세"…SNS 재차 압박
(0)
2025-01-23
2
0
8
경제경제
경제
720조 AI 투자 '트럼프 랠리' 지속…S&P 장중 신고가
(0)
2025-01-23
2
0
8
경제경제
경제
관세 이어 세금전쟁까지…"미국기업 차별국에 2배 보복과세"
(0)
2025-01-23
2
0
8
경제경제
경제
엔비디아, AI 수혜주에서 트럼프 수혜주로?…"AI 투자금 흡수할 것"
(0)
2025-01-23
3
0
8
경제경제
경제
코스피, 하루만에 다시 2520선 후퇴
(0)
2025-01-23
2
0
8
경제경제
경제
뉴욕증시, '트럼프 AI 투자 확대' 기대에 상승 마감
(0)
2025-01-23
2
0
8
경제경제
김치프리미엄(김프) 실시간 김프가를 확인 할 수 있는 익스체인지 플러스(explus.co.kr, 익플)는 사이트 내 모든 암호화폐 가격 및 투자 관련 정보에 대해 어떠한 책임을 부담하지 않습니다. 디지털 자산 투자는 전적으로 스스로의 책임이므로 이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김치프리미엄(김프) 실시간 김프가를 확인 할 수 있는 익스체인지 플러스(explus.co.kr, 익플)는 사이트 내 모든 암호화폐 가격 및 투자 관련 정보에 대해 어떠한 책임을 부담하지 않습니다.
디지털 자산 투자는 전적으로 스스로의 책임이므로 이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29번길 10, 3층 (역삼동, 정안빌딩) | 퓨처스엔터테인먼트(주) | 박희성 | 270-88-03055
logo_black© 2025 익스체인지 플러스 - 익플,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