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NH투자증권, 17개 자산군 수익률 분석
'金 뛰면, 弗 떨어진다' 공식 깨져
美경제 활황에 달러인덱스 6%↑
신흥국, 달러 의존 줄이려 金매입
韓증시, '삼성전자 부진' 직격탄
HBM 경쟁력 의구심 … 외인 '팔자'
수출·내수 부진에 탄핵정국 덮쳐
트럼프發 고관세·고환율도 부담
"저평가 매력 부각땐 반등 기대"
‘달러가 오르면 금값은 내린다.’ ‘안전자산이 오르면 위험자산은 내린다.’
지난 수십 년간 재테크 시장에서 통용되던 전통적 논리가 무너진 한 해였다. 안전자산인 금과 위험자산인 비트코인, 미국 주식이 동반 랠리를 펼치고 달러 가치가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등 ‘에브리싱 랠리’가 펼쳐졌다. 하지만 한국 주식은 오히려 투자자에게 8% 넘는 손해를 안겼다.
○비트코인·金·달러 동반 랠리
23일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올초 4만~5만달러 수준을 횡보하던 비트코인은 지난 5일 사상 처음으로 10만달러를 넘겼다. 이달 19일 기준 비트코인의 올해 상승률은 129.67%에 달했다.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이 큰 영향을 미쳤다. 트럼프 당선인은 선거 기간 내내 가상자산 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규제를 완화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미국 행정부는 비트코인을 전략적으로 비축하겠다고 약속했다. 홍춘욱 프리즘투자자문 대표는 “트럼프 행정부가 펼칠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워낙 크다 보니 트럼프의 작은 발언에도 글로벌 자금이 몰려드는 상태”라고 말했다.
수익률 2위는 금(24.87%) 현물이 차지했다. 금과 달러는 지난 10년간 역의 상관관계를 기록해왔다. 금 등 원자재는 대부분 달러로 거래되기 때문에 달러 가치가 절하하면 달러로 표시된 원자재 가격은 상승한다. 그러나 올해는 미국의 강한 경제에 힘입어 달러인덱스가 6% 상승하는 동안 금도 크게 올랐다. 금의 구조적 수요가 많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미국이 러시아를 상대로 달러 자산을 무기화하자 신흥국 중앙은행은 달러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금을 대량으로 사들였다. 중동 갈등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불안정성, 주요국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올 한 해 내내 금 가격을 자극했다.
미 S&P500지수는 23% 상승하며 수익률 3위를 기록했다. 알파벳 엔비디아 테슬라 등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빅테크가 그 어느 때보다 뜨거웠다. 미국 경제도 꾸준한 호황으로 증시 랠리를 뒷받침했다.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반도체 등 전통 제조업을 미국 내로 끌어들이려는 미국의 자국 우선주의 정책도 미 증시와 경제를 끌어올리는 데 한몫했다”고 설명했다.
○정기예금만도 못한 코스피 수익률
올해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한 주요 자산군은 세 개뿐이었다. 글로벌 리츠(S&P 글로벌리츠)의 수익률은 -0.48%를 기록했다. 탄탄한 미국 경기, 트럼프 당선인의 경제정책 등으로 미국 국채 금리가 높은 수준을 유지한 영향이다. 원유(미 서부텍사스원유·WTI) 값도 중국발 수요 부진과 공급과잉 전망 등으로 올초 대비 2.43% 하락했다.
이 중에서도 가장 낮은 수익률을 기록한 건 한국 코스피지수였다. 올해 들어 8.26% 하락했다. 1년 정기예금(3.65%)보다도 못한 수익률을 낸 것이다. 외국인 투자자가 급격히 국내 증시를 이탈한 점이 컸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 등의 영향으로 배터리업체들의 주가가 급락했고 시가총액 1위인 삼성전자는 고대역폭메모리(HBM) 기술 경쟁력에서 기대에 못 미친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뒷걸음질 쳤다. 지난 8월 이후 외국인은 삼성전자를 20조8730억원어치 팔아치웠다. 같은 기간 주가는 36% 급락했다.
7월 이후 트럼프의 고강도 관세 정책까지 부각되면서 수출 기업 위주로 구성된 국내 증시의 하락세는 가팔라졌다. 수출과 내수가 동반 부진에 빠진 한국 경제와 뜨겁게 달아오른 미국 경제의 간극이 커지며 원·달러 환율이 1400원 선을 넘겼고, 외국인의 국내 증시 탈출 속도는 더욱 빨라졌다. 지수가 하락할 때마다 저가 매수에 나서던 개인투자자마저 고수익을 안겨주는 미국 증시로 떠나자 수급은 급격히 얇아졌다. 이달 초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 선포와 탄핵 정국까지 겹치며 ‘코리아 디스카운트 현상’은 심화했다. 김 센터장은 “주식순자산비율(PBR)이 0.85배 수준까지 떨어진 한국 증시는 역사적 저평가 국면에 진입했다”며 “당분간 마땅한 호재를 찾기 힘들지만 싼 가격이 부각돼 반등 타이밍이 의외로 빨리 찾아올 수 있다”고 말했다.
심성미 기자 smshim@hankyung.com
이시은 기자 s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