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자사의 인공지능(AI) 모델 학습에 구글이 설계한 텐서 프로세서 유닛(TPU)을 활용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애플이 엔비디아의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애플은 앞으로 출시하는 새 운영체제(iOS) 및 제품에 AI 기능을 탑재할 예정입니다.
29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애플은 이날 47페이지 분량의 ‘애플 인텔리전스 파운데이션 언어 모델’(AFM)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공개하며, AI 모델 학습에 구글의 TPU를 사용했다고 밝혔습니다. TPU는 구글이 AI 구동을 위해 기계 학습과 추론을 위해 특화한 자체 설계 커스텀 칩입니다.
애플은 논문에서 구글을 직접 언급하지 않았지만, "애플 인텔리전스의 기반이 되는 AFM 온디바이스와 AFM 서버 모델을 클라우드 TPU 클러스터에서 학습시켰다"고 설명했습니다. 애플은 온디바이스 AI 모델 학습에 올해 1월 선보인 TPUv5p 칩 2048개를, 서버 모델에는 지난해 공개된 TPU 4세대 버전인 TPUv4 8192개를 사용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시스템을 통해 AFM 온디바이스와 AFM 서버, 그리고 더 큰 모델들을 효율적이고 확장 가능하도록 학습할 수 있다고 낙관했습니다.
요약하면 애플이 자사의 AI 모델을 훈련하기 위해 구글이 자체 설계한 AI 칩이 장착된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했다는 의미입니다. CNBC는 이 소식을 빅테크 기업들이 최첨단 AI 훈련과 관련해 엔비디아의 대안을 찾고 있다는 신호로 평가했습니다.
엔비디아는 그래픽처리장치(GPU) 시장의 80% 이상을 장악하고 있습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를 비롯해 마이크로소프트(MS), 앤스로픽 등 주요 AI 기업들이 모두 엔비디아의 GPU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구글, 메타, 오라클, 테슬라 등도 AI 시스템 및 서비스 확장을 위해 엔비디아의 제품을 대량 구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엔비디아의 칩 수요는 높고 공급이 부족해 가격은 개당 3만∼4만 달러에 달합니다. 기업들 입장에서는 비용 부담이 큽니다. 이에 애플이 비용 절감을 위해 구글의 TPU를 활용한 것입니다. 구글의 최신 TPU는 시간당 2달러 미만으로 3년 전에 예약하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애플은 이날 논문 공개와 함께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애플 인텔리전스의 미리보기 버전도 출시했습니다. 애플은 향후 출시 예정인 제품에 애플 인텔리전스 기능을 탑재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생성형 AI 경쟁에 뒤늦게 뛰어든 만큼 시장 선점 측면에서 심리적 부담이 큰 상황입니다.
애플의 이번 발표는 AI 모델 학습에 있어 엔비디아 외에도 다양한 옵션을 모색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AI 분야에서의 경쟁을 더욱 치열하게 만들고, 비용 절감과 효율성 향상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을 높일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