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 주요 일정
✅ 7월 29일 (월)
17: 30 영국 주택담보대출금액 (6월)
23: 30 미국 댈러스 연은 제조업 활동 지수 (7월)
✅ 7월 30일 (화)
08: 30 일본 실업률 (6월)
22: 00 S&P/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 (5월)
23: 00 미국 구인·이직 보고서(JOLTs) 채용수 (6월)
23: 00 미국 컨퍼런스보드 소비자 신뢰지수 (7월)
✅ 7월 31일 (수)
05: 30 API 원유 재고 변화 (7월)
08: 50 일본 산업생산 잠정치 (6월)
08: 50 일본 소매 판매 (6월)
10: 30 중국 NBS 비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7월)
13: 00 BOJ 기준금리 결정
14: 00 일본 주택 건축 착공 건수 (6월)
14: 00 일본 소비자 신뢰지수 (7월)
17: 30 홍콩 GDP 성장률 잠정치 (Q2)
21: 15 미국 ADP 고용변화 (7월)
22: 45 시카고 구매관리자지수 PMI (7월)
✅ 8월 1일 (목)
03: 00 연준 기준금리 결정
03: 30 연준 기자 회견
09: 00 한국 전년대비 수출액 (7월)
09: 30 한국 구매관리자지수(PMI) (7월)
10: 45 Caixin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7월)
17: 30 영국 제조업 PMI (7월)
20: 00 영국 BOE 기준금리 결정
23: 00 미국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7월)
✅ 8월 2일 (금)
08: 00 한국 인플레이션율 (7월)
21: 30 미국 비농업 고용수 (7월)
21: 30 미국 실업률 (7월)
21: 30 미국 경제활동참가율 (7월)
- 금리 5.50% 6연속 동결
✅[발표 : 5.50% | 예측 : 5.50% | 이전 : 5.50%]
📅 2024년 FOMC 일정
*국가별 기준금리
📈미국 5.50%
📈유럽 4.25%
📉일본 0.10%
📈한국 3.50%
✅ 1회차 - 2월 01일(목) 04:00 (동결)
✅ 2회차 - 3월 21일(목) 03:00 (동결)
✅ 3회차 - 5월 02일(목) 03:00 (동결)
✅ 4회차 - 6월 13일(목) 03:00 (동결)
✅ 5회차 - 8월 01일(목) 03:00
✅ 6회차 - 9월 19일(목) 03:00
✅ 7회차 - 11월 07(목) 03:00
✅ 8회차 - 12월 19일(목) 04:00
* 7월 31일 COMMENT
1) MS 클라우드 서비스 성장 둔화, AMD는 고무적 매출 전망 발표
마이크로소프트(MS)의 애저(Azure) 클라우드 서비스가 최근 분기 성장 둔화를 기록하며, 인공지능(AI) 제품에 대한 투자 보상을 기대하던 투자자들을 실망시켰습니다. 반면, AMD는 낙관적인 매출 전망을 발표하며 새로운 AI 프로세서가 성장을 뒷받침하고 있다는 신호를 보였습니다. 이에 따라 MS 주가는 하락했으나, AMD 주가는 상승했습니다.
2) 이스라엘, 헤즈볼라 고위 지휘관 표적으로 베이루트 공습
이스라엘이 헤즈볼라 고위 지휘관을 표적으로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를 공습했습니다. 이는 주말 사이 발생한 로켓 공격으로 인해 어린이와 청소년이 목숨을 잃은 데 대한 보복 조치로, 상황을 더 확대시키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3) 해리스, 미국 7개 경합주에서 트럼프 앞서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젊은 흑인과 히스패닉 유권자들 사이에서 높은 지지를 얻으며, 7개 경합주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지율을 소폭 앞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리스는 애리조나, 네바다, 위스콘신 등에서 트럼프를 앞서고 있으며, 미시간주에서는 바이든보다 더 큰 격차를 보였습니다.
4) 골드만 CEO, 올해 연준 금리 동결 전망에서 인하 가능성으로 변경
골드만삭스의 CEO 데이비드 솔로몬이 올해 연준이 한 차례 또는 두 차례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주장했습니다. 두 달 전에는 금리 인하가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최근 소비자 행동의 변화와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 등의 이유로 인하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습니다.
5) 일본은행, 금리 인상안 논의
일본은행(BOJ)이 금리 인상을 고려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현재 0.0~0.1%에서 0.25% 정도로 인상하는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입니다. 일부 위원들은 실질임금 감소와 소비 동향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신중한 의견을 내놓고 있습니다. 한편, 새로운 재무관 미무라 아츠시는 최근 엔화 약세가 일본 경제에 득보다 실이 많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