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30일 세계 4대 인공지능(AI) 석학 중 하나이자 AI펀드의 설립자인 미국 스탠포드대 앤드류 응(Andrew Ng) 교수와 만나 AI를 통한 경제사회 발전 전망과 인재 육성의 중요성에 대해 의견을 나눴습니다.
대통령실 박상욱 과학기술수석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앤드류 응 교수와의 접견은 향후 1~2년이 한국 AI의 성패를 결정지을 골든타임이라는 윤 대통령의 비상한 인식하에 진행됐다"고 전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한국이 반도체, 스마트폰 등 세계 최고 수준의 하드웨어 경쟁력과 세계에서 세 번째로 초거대 AI 모델을 개발할 만큼 충분한 소프트웨어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며 "모빌리티, 의료 등 다양한 산업 부문에서 AI 전환을 통한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AI 혁신·안전, AI 전환과 같은 국가정책을 직접 챙기고자 한다"며 "신설되는 국가인공지능위원회의 글로벌 자문그룹에 앤드류 응 교수도 참여해 힘을 모아달라"고 권유했습니다.
박 수석은 "앤드류 응 교수는 즉석에서 참여 의향을 밝히며 한국의 AI 발전과 한미 국제 협력에 힘을 보태겠다고 했다"고 전했습니다.
응 교수는 "한국은 정부 의지가 강하고 기술혁신 역량이 뛰어나며, AI에 필수적인 반도체 등 산업 기반뿐 아니라 AI 소프트웨어 생태계가 있다"며 "AI 강국이 될 잠재력이 풍부하다"고 평가했습니다. 이어 "미국, 중국에 이어 세계 3대 AI 강국이 될 잠재력이 크다"며 "AI 교육훈련을 통해 인재를 양성하고 한국의 AI 스타트업 생태계가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국내기업과의 긴밀한 협력을 희망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응 교수는 얀 르쿤 뉴욕대 교수와 요수아 벤지오 몬트리올대 교수, 제프리 힌턴 토론토대 교수 등과 함께 'AI 4대 석학'으로 불립니다.
박 수석은 응 교수에 대해 "그래픽처리장치를 활용한 딥러닝 구현 방법론을 개척하고 구글브레인을 설립하는 등 학계와 산업계를 넘나들며 인공지능 기술 혁신을 주도했다"고 소개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