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전문가 10명 중 9명은 오는 22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기준금리를 현재 연 3.5%로 동결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금융투자협회가 이달 9일부터 14일까지 62개 기관의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자 100명의 설문 응답을 분석한 결과 응답자의 90%는 8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했습니다.
이는 지난달 동결 전망 응답보다는 9%p 줄어든 결과입니다.
채권시장 전문가 대다수는 매달 조사에서 한은의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해 왔는데, 동결 응답 비율 90%는 올해 들어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나머지 10%는 25bp(1bp=0.01%p) 인하를 예상했습니다.
금융투자협회는 “9월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전망이 우세한 상황에 국내 내수 부진 우려가 더해져 8월 금통위의 기준금리 하락에 대한 예상이 전달 대비 증가했으나 가계부채와 부동산 리스크 우려 등으로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하는 응답자가 여전히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다음 달 국내 채권시장의 금리 방향에 대해서는 금리가 보합세를 보일 것이라는 응답이 전달 대비 8%p 증가한 62%로 집계됐습니다.
금리하락 응답 비율은 26%로 전달 대비 3%p 줄었습니다.
미국의 경기 침체 우려와 기준금리 인하 기대로 시장금리 상단이 제한된 가운데 글로벌 통화 정책과 경제지표 발표 등을 대기하며 다음 달 금리 보합 응답자가 증가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한편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확산 우려에 따른 유가 및 수입물가 변동 폭이 확대된 영향으로 물가 하락을 전망하는 응답은 전달(27%)보다 감소한 20%로 조사됐습니다.
물가 상승 응답자 비율은 6%로, 전달(3%) 대비 3%p 증가했습니다.
환율 관련 채권시장 심리는 전월 대비 호전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지난달 말 일본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단행과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확산으로 인한 달러 약세 압력이 증가하면서 다음 달 환율 하락(원화 강세)을 전망한 응답은 전달(16%)보다 증가한 23%로 나타났습니다.
환율 상승 응답은 7%로 전달(8%)보다 소폭 줄었습니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토대로 산출한 9월 채권시장 종합 지표(BMSI)는 107.5로 전달(101.6)보다 상승했습니다.
설문에 대한 응답을 통해 산출되는 BMSI는 채권시장의 심리를 나타내는 지표로, 100 이상이면 채권금리 하락(가격 상승)이 기대되는 등 시장 심리가 양호하다는 것을 뜻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