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몬·위메프 피해 판매자와 소비자들이 지난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금융위원회 앞에서 ‘검은 우산 집회’를 열고 피해자 구제를 위한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티몬과 위메프가 입점업체에 지급하지 않고 빼돌린 미정산 대금 규모가 1조3천억원으로 파악됐다. 정부는 소상공인 입점업체 줄도산을 막기 위해 유동성 공급에 나서고 있다.
21일 정부 핵심관계자는 “금융감독원 집계 결과, 티몬과 위메프의 총 미정산 금액은 1조3천억원 내외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추정치를 제외하고 정부 차원에서 구체적인 피해 액수 확인해 언급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 관계자는 “금감원이 티몬과 위메프 사무실에서 확보한 원자료를 모두 확인해 파악한 숫자”라고 말했다.
기업회생을 신청한 티몬·위메프는 사실상 대금 정산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미정산 금액 1조3천억원은 고스란히 입점업체 피해로 이어지는 상황이다. 수천만원에서 수억원이 물려있는 입점업체들은 자금 압박에 시달리며 폐업 위기에 몰렸다.
정부는 직접 대출과 이자액 지원 등을 통해 중소상인과 중소기업 자금난 해결에 나서고 있다. 정부는 이날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1조6천억원 규모의 유동성 지원책을 가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각각 1700억원과 1천억원의 자금을 투입해 14일부터 대출 승인을 해주고 있다. 각각 3.51%, 3.4%의 이자율이 적용된다. 신용보증기금과 기업은행도 14일부터 3천억원(이자율 3.9∼4.5%)의 금융지원을 시작했다. 지난 16일까지 1114억원 규모의 피해기업 대출 만기 연장도 이뤄졌다. 지방자치단체 16곳은 1조원 이상의 긴급 경영안정 자금을 편성해 힘을 보태고 있다.
정부가 파악한 소비자 환불 금액은 총 359억원(13일 기준)이다. 카드사, 간편결제사 등을 통해 248억원 규모의 일반상품 환불이 완료됐고, 상품권 111억원 어치도 환불 절차가 마무리됐다. 남은 피해자 구제를 위해 여행·숙박·항공권 및 상품권 분야 관련 집단 분쟁조정도 진행될 예정이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피해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금리 인하 등 자금조달 부담 완화방안도 함께 검토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