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드랍 게시판 TOP5

경제 게시판
경제
미국 투자 적기는? “트럼프 베팅땐 대선 전, 해리스면 직후”
2
거시경제러
09-12
조회수 4
추천 0

“미국 대선 전후 주가 패턴을 알면 내년 뉴욕 증시를 가늠할 수 있다.”


켄 피셔(74·사진) 미국 자산운용사 피셔인베스트먼츠(FI) 회장이 한 말이다. 더중앙플러스 글로벌 머니와 한 화상 인터뷰에서다. FI의 운용자산(AUM)은 2760억 달러(약 370조원), 피셔 회장 개인 자산은 110억 달러(약 14조6000억원)에 이른다.



Q : 올해 말 뉴욕 증시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가 어디쯤 가 있을까.

A : “현재 미국 뉴욕 증시는 나쁘지 않다. 다만, 한 가지를 꼭 짚고 넘어가야겠다. 올해 11월엔 미국 대통령선거가 있다. 대통령선거 전후 데이터를 보면 뉴욕 주가는 일정한 패턴을 보였다. 그렇다고 패턴이 앞으로도 되풀이될 것이라고 말하려는 것은 아니다.”



Q : 어떤 패턴이었나.

A : “대선 승자의 소속정당에 따라 주가 움직임이 달랐다. 공화당 후보가 승리한 경우 선거가 있는 해에 주가가 좋았다. 반면에 임기 첫해 주가 상승률이 시원찮았다.”



Q : 민주당 후보가 이긴 때는 어땠나.

A : “민주당 후보가 이기면 선거가 치러진 해 주가는 대체로 시원찮았다. 반면에 취임 첫해 주가는 좋았다. 이런 패턴은 민주당 출신인 프랭클린 루스벨트가 취임한 1933년 이후 계속됐다. 다만, 지미 카터(재임 기간: 1977~81년)가 취임한 해는 예외였다. 그해 S&P500 지수는 전년과 견줘 7.4% 정도 낮았다.”



Q : 선거 해와 취임 연도 주가가 승자가 속한 정당별로 차이가 나는 이유가 궁금하다.

A : “미 증시 참여자들은 공화당 출신 당선자가 비즈니스 친화적이라고 여긴다. 금융과 비즈니스 규제를 풀어주고 세금을 내려줄 것으로 기대한다. 그런데 취임 이후 기대만큼 규제를 확 풀어주거나 세금을 대폭 깎아주지 않아 투자자들이 실망해서다.”



Q : 민주당 후보가 승리하면 취임 첫해 주가가 좋은 이유는 무엇일까.

A : “민주당 출신 당선자는 대기업을 반대하고 규제 친화적이라고 여긴다. 그런데 취임 이후 공화당과 크게 다르지 않은 사실을 발견하고 투자자들이 경계를 풀었기 때문이다.”


대선 전후 일정 주가 패턴은 ‘워싱턴의 경직성’ 때문이다. 피셔 회장은 “카멀라 해리스와 도널드 트럼프 가운데 누가 이겨도 상원은 민주당이, 하원은 공화당이 지배하고 있어 선거 때 약속한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없다”고 지적했다.



Q : 미 정부가 크게 바뀔 수 없다는 사실은 리스크가 적다는 의미일 수도 있지 않을까.

A : “100% 그렇다고 말할 순 없다. 안전이란 의미가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 다만, 오랜 기간 살펴봤을 때 시장, 주식시장엔 의회 분점 상황이 좋았다. 주식시장 참여자들은 대통령이 근본적으로 뜯어고치는 상황을 좋아하지 않았다. 이는 경제 이론 측면에서도 사실인 듯하다.”



Q : 어떤 이론인가.

A : “행태주의 금융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무엇인가를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을 더 싫어한다. 미 정부가 획기적으로 바뀌는 바람에 발생하는 충격을 두려워하는 정도가 변화의 기대감보다 크다는 얘기다. 역사적으로 미 정부가 불확실성을 키워 두려움을 증폭시켜 온 사실이 작용한 듯하다.”



Q : 이번 대선에서 투자자는 어떻게 매매하는 게 좋을까.

A : “민주당 해리스가 이긴다고 보면, 선거 직후 주가가 지지부진할 때 사서 임기 첫해 과거 민주당 출신 대통령 때처럼 강세를 보이면 팔아 이익을 실현하는 게 좋다. 반대로 트럼프가 이긴다고 보고 베팅하면 이익을 볼 시간이 짧다(지금 주식을 산다면, 대선 직후에 팔아야 하기 때문에 상승 폭이 제한적일 수 있다). 취임 첫해 주가가 이전 공화당 출신 대통령 시절처럼 지지부진할 가능성이 있다.”






출처: 중앙일보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게시물과 관련없는 정치댓글 작성시 강력제재 이용정지 처리합니다.
분류
제목
경제
BEST🔥
당신이 알아야 할 스토리(IP)의 모든 것
(0)
2025-03-02
365
7
2
정보공유러
경제
BEST🔥
테슬라: 일론 머스크, 중국 리스크 속에서도 반등 랠리를 이어갈 수 있을까?
(2)
2024-12-18
134
3
1
이더클고A련
경제
BEST🔥
마이클 세일러, 비트코인 추격 매수… “100만 달러 돼도 멈추지 않는다”
(6)
2024-12-16
345
65
9
경제경제
경제
KDI 경제동향 25년 3월 경제동향 요약
(0)
2025-03-11
9
0
2
거시경제러
경제
일본 여행 지금이 가장 싸다?…1000원 바짝 다가선 엔화 환율
(0)
2025-03-10
8
0
9
경제경제
경제
원/달러 환율, 트럼프 관세 정책에 장 초반 소폭 상승…1,447.8원
(0)
2025-03-10
9
0
9
경제경제
경제
예상보다도 많이 빠진 중국 물가 '불안감'…중화권 하락
(0)
2025-03-10
9
0
9
경제경제
경제
미 상무 "12일 철강 관세, 4월2일 상호관세" 재확인…"미국산은 싸질 것"
(0)
2025-03-10
6
0
9
경제경제
경제
머스크 "우크라이나 스타링크 끊지 않겠다…협상카드 아냐"
(0)
2025-03-10
3
0
9
경제경제
경제
코스피, 외인·기관 매도에 하락 출발…SK이노베이션 4%대 강세
(0)
2025-03-10
7
0
9
경제경제
경제
코스피, 외인·기관 순매도에 2550선 하락 개장...HLB 13%대 급락
(0)
2025-03-10
3
0
9
경제경제
경제
日 증시, 혼조세로 출발…저가 매수 vs 지표 부진
(0)
2025-03-10
6
0
9
경제경제
경제
[올댓차이나] 中 증시, 정책 기대에 반등 개장 후 등락…창업판 0.38%↓
(0)
2025-03-10
6
0
9
경제경제
경제
[올댓차이나] 홍콩 증시, 中 경기둔화·미중대립에 속락 출발…H주 1.26%↓
(0)
2025-03-10
6
0
9
경제경제
경제
기부금 받아 상품권 '깡', 아파트 구매까지…234개 공익법인 적발
(0)
2025-03-10
9
0
9
경제경제
경제
윤 측 "탄핵, 절차·내용 흠결" 반발…변론재개 요청할까
(0)
2025-03-10
9
0
9
경제경제
경제
가자 협상 재개 준비…이스라엘 "대표단 파견" 하마스 "긍정 신호"
(0)
2025-03-10
9
0
9
경제경제
경제
홈플러스 "지난해 재무 지표 개선, 신용등급 하락 예상 못했다" 반박
(0)
2025-03-10
7
0
9
경제경제
경제
'尹 석방' 비판한 5·18 단체…보훈부는 "정치 중립 지켜라" 공문
(0)
2025-03-10
7
0
9
경제경제
경제
오락가락 관세에 서학개미 울상인데…트럼프 "증시 많이 안 내렸다"
(0)
2025-03-10
7
0
9
경제경제
경제
트럼프 행정부, 이라크에 '이란산 에너지' 수입 허용 중단한다
(0)
2025-03-10
8
0
9
경제경제
경제
홈플러스 "기업가치 0원? 잘못된 주장, 매출채권 담보 대출 없다"
(0)
2025-03-10
8
0
9
경제경제
경제
초유의 민가 오폭, 조종사 과실로 끝날까…중간조사 결과 발표 '촉각'
(0)
2025-03-10
7
0
9
경제경제
김치프리미엄(김프) 실시간 김프가를 확인 할 수 있는 익스체인지 플러스(explus.co.kr, 익플)는 사이트 내 모든 암호화폐 가격 및 투자 관련 정보에 대해 어떠한 책임을 부담하지 않습니다. 디지털 자산 투자는 전적으로 스스로의 책임이므로 이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김치프리미엄(김프) 실시간 김프가를 확인 할 수 있는 익스체인지 플러스(explus.co.kr, 익플)는 사이트 내 모든 암호화폐 가격 및 투자 관련 정보에 대해 어떠한 책임을 부담하지 않습니다.
디지털 자산 투자는 전적으로 스스로의 책임이므로 이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29번길 10, 3층 (역삼동, 정안빌딩) | 퓨처스엔터테인먼트(주) | 박희성 | 270-88-03055
logo_black© 2025 익스체인지 플러스 - 익플,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