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바이 스카이라인 전경. AFP=연합뉴스
중동이 반도체의 ‘쩐주’에서 ‘공장주’로 변신을 노린다. 아랍에미레이트(UAE) 같은 석유 부국이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에 대규모 투자를 할 뿐 아니라, 자국에 첨단 반도체 제조 기지를 짓고 싶어한다는 것이다.
23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삼성전자와 TSMC가 UAE에 대규모의 최첨단 반도체 공장을 짓는 프로젝트를 UAE 정부와 논의 중이라고 보도했다. 최근 TSMC 최고경영진과 삼성전자 고위 간부가 각각 UAE를 방문했다는 것. WSJ는 이 프로젝트는 1000억 달러(약 133조6000억원) 규모이며, UAE 국부펀드인 무바달라가 자금 조달을 맡게 될 거라고 보도했다.
삼성전자는 중앙일보 문의에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이 없다고 답했고, TSMC는 블룸버그에 “지금 밝힐 새로운 투자 계획은 없다”라고 답했다.
‘큰 손 투자자’에서 ‘제조’로 옮기나
그간 중동은 AI·반도체 같은 첨단 기술의 큰손이었다. AI를 석유 다음의 먹거리로 삼으려는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는 샘 올트먼 오픈AI CEO의 ‘엔비디아를 대체할 AI 반도체’ 구상 같은 대형 프로젝트마다 자금줄로 거론됐다. UAE 국영 AI 기업 G42는 미국 AI 반도체 스타트업 세레브라스와, 사우디아라비아 석유 기업 아람코는 미국 그로크와 대형 AI 인프라 구축 계약을 맺었다. 지난주 UAE의 기술 전문 투자사 MGX는 블랙록, 마이크로소프트(MS)와 함께 1000억 달러를 조달해 AI 인프라에 투자하기로 협약했다.
그런데 이들이 자국 내에 반도체 제조 기지를 설립하려는 새로운 움직임이 포착된 것이다. 무바달라는 세계 5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미국 글로벌 파운드리스(GF)의 최대 주주이지만, GF의 제조 기지는 미국에 있다. 무바달라는 GF 주식 85%를 보유하고 있으나 올해 들어 이 회사 주식 1조2000억원 어치를 처분했다.
삼성이 중동서 반도체를?
중동은 기후와 산업 특성상 반도체 제조 기지로 크게 고려되지 않던 지역이다. 반도체 제조에 반드시 다량 필요한 산업용 물과 엔지니어를 현지에서 구하기 어렵고, 기존 반도체 공급망과도 동떨어져 있어서다. 다만 ‘오일 머니’의 현금 동원력과 값싼 전기료는 강점으로 꼽힌다.
반도체 업계에서 특히 주목하는 지점은 AI 서비스와 인프라의 결합이다. 중동 부국들이 주요 AI 소프트웨어 기업에도 막대한 투자를 해왔기에, 반도체 같은 인프라와 AI 서비스를 결합해 ‘AI 대중화’를 이끌 가능성도 있다는 얘기다. 무바달라는 오픈 AI의 대항마로 꼽히는 앤쓰로픽 지분 5억 달러어치를 보유하고 있으며, 오픈AI와도 투자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 뒷문’ 美 의심 걷어야
지난해 UAE 두바이 엑스포에서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 나하얀 UAE 대통령이 카멀라 해리스 당시 미국 부통령과 대화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걸림돌은 ‘중동이 중국에 AI·반도체가 흘러 들어가는 뒷문 아니냐’는 미국의 의심이다. 23일(현지시간)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하얀 UAE 대통령이 미국 워싱턴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과 카멀라 해리스 민주당 대선 후보를 만나는데, 이 자리에서 양국의 AI와 기술 협력이 주로 다뤄질 전망이라고 UAE 현지 언론들은 보도했다. 지난 4월 G42는 MS로부터 15억 달러(약 2조원) 투자와 경영 참여를 받아들였는데, 미국의 의심을 불식하고 AI·반도체에서 미국과 밀접 협력하기 위해서다.
제조 큰 손들의 해외 전략 고심
삼성·TSMC·인텔의 해외 전략은 더 복잡해지게 됐다. 이들은 미국과 유럽 등 세계 각국의 ‘반도체 국내 생산’ 기조에 따라 보조금을 받아 해외 제조기지를 설립하는 중이지만, 인력·자금 확보의 문제를 안고 있다. 경영난을 맞은 인텔은 지난주 사업 구조조정안을 발표하며 독일·폴란드·말레이시아의 제조 기지 건설부터 접었다.
각사는 시장 기회를 놓치지 않으면서도 효율성은 높이는 방안을 고심 중이다. 미국 애리조나에 대형 반도체 팹을 짓는 TSMC는 양질의 제조 인력 수급 문제에 부딪혔으나, 미국에서 자녀를 낳기 원하는 대만의 젊은 직원을 대거 파견해 이를 해결하는 중이다. 대만 언론에 따르면, 애리조나 TSMC 공장 직원 2000명 중 1000명은 대만 본사에서 파견했으며, 이들 가정에서 지난 2년간 200명 이상의 신생아를 출산했다고 한다. 자녀를 미국에서 낳아 영주권을 받게 하려는 대만 직원들의 자원으로 미국 공장이 돌아간다는 얘기다.
심서현 기자 shshim@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