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금통위, 11월 금통위서 기준금리 3.0%로 인하
유상대·장용성 “美 정책 지켜본 후 인하 바람직”
나머지 위원 “체감경기 취약… 통화정책 부응해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지난달 시장의 예상을 깨고 ‘깜짝 인하’를 단행하는 과정이 녹록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금리 인하가 환율에 미칠 영향을 걱정하는 의견과 경기 둔화를 막기 위해 금리를 내려야 한다는 의견이 팽팽히 맞섰다.
17일 한은이 공개한 ‘2024년 제22차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에 따르면 한 금통위원은 “추가 금리 인하가 외환시장의 변동성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미국 신정부의 정책 방향, 주요국의 기준금리 결정 및 외환시장 상황을 조금 더 지켜본 후 추가 인하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2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며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뉴스1
그는 이런 판단의 배경으로 “금리 인하는 기업과 가계의 자금 조달 비용을 감소시키지만, 불확실성이 시장을 지배할 때 기업과 가계는 투자와 소비에 관한 결정을 미루게 된다”면서 “대외 부문의 불확실성이 매우 큰 상황에서 금리 인하가 내수 회복으로 이어질지는 예단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위원도 “환율은 높은 변동성이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관련 리스크(위험·risk)에 계속 유의할 필요가 있다”면서 동결 의견을 냈다. 향후 통화정책에 대해서는 가계부채 및 환율 흐름을 보며 경기와 물가의 하방리스크가 완화될 수 있도록 추가 금리 인하 시기 및 속도 등을 결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했다.
반면 금리 인하를 주장한 위원들은 경기 둔화 가능성이 커진 점에 초점을 맞췄다. 인하 의견을 낸 한 위원은 “표면적 경제지표와 달리 경제주체들의 체감 경기가 많이 취약하고, 미국의 정책 기조도 우리 경제에 불리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대내적으로 미약한 내수 회복, 대외적으로 글로벌 경기 위축에 통화정책이 부응해야 할 시점”이라고 했다.
다른 위원도 “물가가 전망 경로에 부합하는 둔화 흐름을 지속하고, 주택가격 상승과 가계부채 증가 우려가 줄어든 상황에서 기준금리 수준을 유지할 필요성이 줄었다”면서 “한국 경제의 향후 성장세가 당초 예상보다 약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현시점에서 금리를 인하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위원은 “수출 증가세가 예상보다 빠르게 둔화하고 내수 회복도 더디다”면서 인하 의견을 냈다. 그는 “내년 경제 성장률도 당초 예상보다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미국 정부 경제정책, 주요국 경기, 정보기술(IT) 수출 흐름 등과 관련해 전망 경로의 불확실성도 커진 상황”이라고 부연 설명했다.
그래픽=손민균
인하 의견을 낸 위원들은 환율이 경기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한 위원은 “환율 상승이 수입물가를 상승시키지만 과거보다 환율의 물가 전가도가 낮아져 상방압력은 크지 않을 것”이라면서 “각종 선행지표, 미시데이터, 시장정보 등을 기반으로 환율여건의 변화, 국내외 경기, 물가 흐름, 금융안정 리스크 증대 여부를 면밀히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또 다른 위원은 “내외금리차 확대에 따라 환율이 소폭 상승할 가능성은 있으나 우리 경제에 주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면서 “향후 물가 및 실물경제, 그리고 국내외 금융시장 추이를 살펴보면서 추가적인 인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앞서 11월 금통위에서 한은은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10월에 이어 기준금리를 종전 3.25%에서 3.00%로 낮췄다. 한은 금통위가 2회 연속 금리 인하를 단행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인 2008년 10월(임시 금통위 포함)부터 이듬해 2월까지 6회 연속 인하 이후 16년여 만에 처음이다.
한은에 따르면 이창용 한은 총재를 제외한 6명의 금통위원 중 동결 의견을 제시한 금통위원은 유상대 부총재와 장용성 위원이다. 이 중 유 부총재는 2004년 이성태 부총재 이후 20년 만에 처음으로 금통위에서 소수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장 위원은 지난 10월에 이어 11월에도 동결 소수의견을 내면서 매파(통화 긴축 선호)적인 면모를 보였다.
최온정 기자 warmheart@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