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캐나다·멕시코·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가 '일시적 조치'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미국계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전망했다.
골드만삭스는 "전망이 불확실하지만 경제적 피해와 마약 펜타닐 유입 억제라는 조건 등을 고려할 때 관세 부과는 일시적일 수 있다"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이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골드만삭스는 또 관세 부과 절차가 진행되고 있지만 오는 4일 관련 행정명령이 발효되기 직전 "마지막 순간에 타협될 여지도 있다"도 전망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을 상대로 한 고율 관세 부과 배경으로 펜타닐 등 마약류와 불법 이민자 유입에 따른 국가안보상 위험을 든 만큼 이 문제에 대해 아직은 막판 타결 가능성이 남았다는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 고위 관계자들도 일부 외신과의 전화 통화에서 "불법 펜타닐이 미국에 유입되는 경로를 해당 국가들이 제거했다는 사실을 미국이 확인할 때까지 관세가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시 말하면 캐나다 등이 펜타닐 유입에 대해 충분히 조치하고 있다는 점이 설득될 경우 언제든 관세 부과를 중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멕시코와 접한 남부 국경과 캐나다와 맞닿은 북부 국경에서 펜타닐이 미국으로 대량으로 들어오고 있고 펜타닐 제조를 위한 원료를 중국이 공급하고 있다고 주장해왔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이에 맞춰 보복 관세 단행 의지를 밝히면서도 '협상 카드'를 최우선 순위로 두고 미국 행정부와 접촉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이 전날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할 것을 지시하면서 이를 "플랜 B"라고 지칭한 것도 이런 사정을 반영한다.
미국 내에서도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가 미국 경제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적잖다. 관세는 수입국의 법인이나 개인 소비자가 내기 때문에 결국 소비자물가를 끌어올리는 효과가 있다. 물가상승과 함께 무역과 소비 둔화, 경제성장률 타격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얘기다.
공화당 내에서도 이런 이유로 존 코닌 상원 원내대표, 미치 매코널 상원 의원 등이 관세 부과에 우려를 표한 것으로 전해진다. 존 머피 미국상공회의소 부회장은 "이번 관세가 미국 제조업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경제 쇠퇴를 초래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진짜 노림수가 무엇이든 미국 내 상황이 급변할 경우 펜타닐 유입을 비롯한 국가안보 위험 해소를 명분으로 관세 부과를 중단할 수 있다는 얘기다. 골드만삭스는 오는 4일 예정대로 캐나다와 멕시코 등에 관세가 부과될 경우 미국 근원 인플레이션이 0.7% 상승하고 미국 GDP(국내총생산)는 0.4%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머니투데이 심재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