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준비제도(연준) 위원들은 금리를 더 낮추기 전에 인플레이션이 좀더 내려가는 것을 확인해야 한다는데 동의하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에 미칠 영향에 대해 우려했다.
19일(현지시간) 공개된 지난 1월28~2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따르면 회의 참석자들은 "경제가 최대 고용 수준에 가깝게 유지된다면 연방기금 금리의 목표 범위를 추가로 조정하기 전에 인플레이션이 더 진전되기를 원한다"는 뜻을 밝혔다.
아울러 "대다수가 현재 연준의 정책이 여전히 성장 제약적이라고 판단하면서도 연준이 경제활동과 노동시장, 인플레이션의 향후 진행 전망을 평가할 수 있는 시간을 갖기에 좋은 위치에 있다"는데 동의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잠재적인 정책 변화가 향후 금리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FOMC 의사록에 따르면 연준 위원들은 "무역과 이민, 재정, 규제 등 가능한 정책 변화의 범위와 시기, 경제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 등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높아졌다"고 언급했다.
의사록은 또 "참가자들이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 전망에 대한 상향 위험, 인플레이션 전망에 대한 상향 위험을 지적했다"며 "특히 무역 및 이민 정책의 잠재적 변화가 미칠 가능한 영향을 언급했다"고 전했다.
연준 위원들은 의사록에서 연준의 양대 임무인 물가 안정과 최대 고용을 달성하는데 따르는 리스크가 "대략적으로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연준이 인플레이션이 재점반등하거나 노동시장이 크게 냉각될 가능성에 대해 크게 걱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금리가 장기간 동결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연준 일부 위원들은 "연방기금 금리의 목표 범위가 중립 수준을 크게 상회하지 않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는 현재 기준금리가 중립 금리에 거의 근접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의미로 추가 금리 인하의 필요성을 낮추는 것이다. 중립 금리는 경제 성장을 촉진하지도, 억제하지도 않는 수준의 금리를 말한다.
몇몇 연준 위원들은 또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인) 2%로 지속 가능하게 낮아지고 있다는 견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디스인플레이션(인플레이션이 없는 상태)이 지속되고 있다는 추가 증거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준 위원들은 아울러 의회에서 부채한도 협상이 마무리될 때까지 보유 국채를 줄이는 양적 긴축(QT)을 일시 중단하거나 양적 긴축의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연준의 대차대조표 축소가 일시 중단되거나 축소 규모가 줄 수 있다는 의미다.
머니투데이 권성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