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드랍 게시판 TOP5

경제 게시판
경제
EU·베트남도 “中 철강 덤핑 조사”… 세계가 ‘무역 성벽’ 쌓기 시작
1
내일은없다
02-21
조회수 1
추천 0

트럼프發 나비효과

그래픽=박상훈


20일 우리 정부는 무역위원회 회의를 열고 “중국산 후판에 대한 덤핑 방지 잠정 관세를 27.9~38%의 수준으로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잠정 관세는 기획재정부의 검토를 거쳐 한 달 내로 확정해 중국산에 즉각 부과한다. 국내 철강보다 10~30%가량 싸게 판매되는 중국산 후판과의 가격 불균형을 맞추겠다는 취지다. 산업부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한중 FTA 체결 이후엔 중국산 철강 대부분에 대해 무관세 원칙을 지켜왔지만, 이번 중국산 후판의 경우엔 예비 조사 결과 명백하게 자국 적체 물량을 소화하기 위한 덤핑 행위가 있다고 판단해서 관세를 매기게 됐다”고 했다. 한중 FTA 협정안엔 ‘덤핑으로 인한 행위에 대해선 무역 구제를 위한 상계 관세가 가능하다’는 조항이 있다.


그래픽=송윤혜


◇트럼프발 압박에 밀려드는 중국산 후판


후판은 두께 6㎜ 이상의 두꺼운 철판으로, 주로 선박 제조나 건설 현장에 쓰인다. 국내 후판 시장 규모는 연 8조원 수준이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중국산 후판 수입량은 2021년 44만6000t에서 2024년 138만1000t가량으로 최근 3년 새 3배 이상으로 늘었다. 작년 수입액은 1조3600억원어치 정도다.


업계에선 특히 지난 2020년 코로나 시기를 거치면서 중국산 후판의 물량 공세가 더욱 거세졌다고 한다. 중국 내수 경제가 위축되고 건설 경기가 극심하게 악화되면서 중국 철강 업계가 적체 물량 해소를 위해 국산 제품보다 최대 30%까지 싼 가격에 수출해 국내 시장을 교란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이에 국내 후판 대표 기업 격인 현대제철은 작년 7월 무역위원회에 반덤핑 조사를 요청했다. 현대제철은 제소 당시 중국산의 덤핑률을 25.89%로 산정했지만, 무역위는 작년 10월부터 예비 조사를 4개월가량 진행한 후 이보다 2.01~12.11%포인트 높은 예비 덤핑률을 인정했다. 보통 덤핑률은 본조사까지 마친 뒤 정하지만 큰 피해가 예상될 때는 예비 판정 형태로 관세를 바로 물릴 수 있다. 철강 업계 관계자는 “정부 조사에서 더 높은 덤핑률이 나올 만큼, 저가 물량 공세가 심했다는 뜻”이라고 했다.


국내 업체들은 이번 정부 조치로 ‘일단 숨통이 트였다’는 입장이다. 한 철강 업체 관계자는 “이번 관세 조치로 가격 불균형이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다는 점에선 만족한다”면서도 “향후 중국이 우리나라에 대한 보복 조치에 나설 가능성도 아예 배제할 순 없어 완전히 안심하긴 어렵다”고 했다. 정부 관계자는 이에 “중국이 미국과 관세 전쟁을 벌이는 상황에서 우리나라에 대한 보복 조치에 나설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다”고 했다.


정부는 조만간 일본·중국산 열연강판 반덤핑 조사에도 착수한다는 입장이다. 현대제철이 작년 12월 반덤핑 조사를 요청한 데 따른 것이다. 열연강판은 쇳물을 얇게 펴 만든 철판 형태의 반제품으로 자동차 등 산업 전반에 사용된다.


트럼프 관세 강화에 국가마다 ‘관세 장벽 쌓기’ 돌입

EU는 현재 중국산 철강 제품에 대한 덤핑 여부 조사에 착수한 상태다. 조사는 올해 중순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인도네시아는 자국 시장을 잠식할 가능성이 큰 중국산 석유화학제품에 최대 200% 관세 부과를 검토하고 있다. 브라질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2026년 7월까지 35%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베트남은 중국산 알루미늄에 대한 반덤핑 관세(최대 35.58%)를 5년 더 연장하는 것을 최근 결정했다. 베트남 정부는 또한 지난달 중국에서 수입된 PC강선(Prestressed Concrete Steel Wire)에 대한 반덤핑 관세를 최대 28%까지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우리나라가 중국에 철강 관세를 부과한 것처럼, 세계 각국도 최근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 조치에 대응해 중국에 대한 무역 장벽을 높이고 있다. 중국산 저가 제품으로 전 세계가 몸살을 앓는 철강을 비롯해, 미국이 이미 중국산 퇴출에 나선 전기차와 태양광 패널 등이 대표적인 예다. 중국산 석유화학제품에 대한 반발도 거세지는 모습이다.


중남미에선 현지 제품보다 40% 싼 가격을 무기로 중국산 철강이 시장의 절반을 차지하자 관세 장벽을 차례로 높이고 있다. 브라질은 자국 철강 업체가 종업원을 해고하는 지경에 이르자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최대 14.4%로 높인 데 이어, 지난해 6월부턴 쿼터를 초과하는 수입 물량에 25% 관세를 매기기 시작했다.


멕시코는 지난해 4월부터 중국을 겨냥해 FTA 미체결국에서 수입하는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를 25~35%로 올렸다. 콜롬비아는 29.9%에 이르는 반덤핑 관세를 지난해 하반기에 물렸다.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견제도 커지고 있다. EU는 지난해 10월 말부터 향후 5년 동안 최대 45.3%에 이르는 관세를 업체별로 부과했다. 캐나다도 같은 달 중국산 전기차에 100%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중국산 태양광의 물량 공세에 대응하려는 움직임도 계속되고 있다. 브라질은 지난해 말 태양광 모듈 수입 관세를 9.6%에서 25%로 인상했다. 올 1월부턴 폴리실리콘과 웨이퍼 관세도 50%로 높였다.


조재희 기자 joyjay@chosun.com

서유근 기자 korea@chosun.com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게시물과 관련없는 정치댓글 작성시 강력제재 이용정지 처리합니다.
분류
제목
경제
BEST🔥
테슬라: 일론 머스크, 중국 리스크 속에서도 반등 랠리를 이어갈 수 있을까?
(2)
2024-12-18
111
3
1
이더클고A련
경제
BEST🔥
마이클 세일러, 비트코인 추격 매수… “100만 달러 돼도 멈추지 않는다”
(6)
2024-12-16
312
65
9
경제경제
경제
BEST🔥
이더리움, 비트코인 따라잡을까? 4천달러 돌파가 관건
(3)
2024-12-16
158
22
9
코인
경제
“76·86·96년생은 왜 깎아주나?”.. 국민연금 개혁, 형평성 논란 증폭
(0)
2025-02-22
1
0
1
내일은없다
경제
“우리가 가전만 잘 만드나”…AI 키우더니 자율주행까지 발 넓힌다는 이 회사
(0)
2025-02-22
1
0
1
내일은없다
경제
韓 올해 경제성장률, 1% 전망까지 나왔다
(0)
2025-02-22
1
0
1
내일은없다
경제
항생제 ‘끝판왕’도 이기는 슈퍼 박테리아… AI로 해법 찾는다
(0)
2025-02-22
1
0
1
내일은없다
경제
해외 자산 투자 ‘환 헤지’ 굳이 하지마세요
(0)
2025-02-22
3
0
1
내일은없다
경제
뉴욕증시, 블루칩 UNH 급락·서비스업황↓소비심리↓…하락 출발
(0)
2025-02-22
1
0
1
거지경제
경제
트럼프가 불지른 ‘신 골드러시’…“3000달러 찍고 내년 4000간다”
(0)
2025-02-22
2
0
1
거지경제
경제
“미국인들도 요즘 집에서 다 시키네”…매출 1위 자리 내준 최대 유통회사
(0)
2025-02-22
2
0
1
거지경제
경제
1년새 주식재산 6조↑…조정호 메리츠 회장, 1위 이재용 넘본다
(0)
2025-02-22
2
0
1
내일은없다
경제
"이자 비싸도 여기밖에"…카드론으로 몰려 '역대 최다'
(0)
2025-02-22
2
0
1
내일은없다
경제
'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0)
2025-02-22
1
0
1
내일은없다
경제
트럼프 "아주 큰 규모의 미국 진출 대기업 있다"…韓 기업은?
(0)
2025-02-22
2
0
1
내일은없다
경제
한한령 '빗장' 풀릴까…최대 수혜주는 '이곳'
(0)
2025-02-22
2
0
1
내일은없다
경제
서울 신축 아파트 3월 입주물량 5,218가구
(0)
2025-02-21
1
0
9
경제경제
경제
3월 입주 물량 2만8000가구…25년만에 최대치
(0)
2025-02-21
2
0
9
경제경제
경제
이틀째 약세 코스피 2640대 등락…전날 급등한 엔터주도 소강
(0)
2025-02-21
1
0
9
경제경제
경제
글로벌 달러 약세…환율, 장 초반 1430원 초반대로 하락
(0)
2025-02-21
1
0
9
경제경제
경제
이틀째 쉬어가는 코스피 2,640대 약세…코스닥은 올라
(0)
2025-02-21
2
0
9
경제경제
경제
[올댓차이나] 中 증시, 추가 지원책 기대로 상승 개장…창업판 0.44%↑
(0)
2025-02-21
1
0
9
경제경제
경제
[올댓차이나] 홍콩 증시, 주요기업 실적 호조에 대폭 반등 개장…H주 2.14%↑
(0)
2025-02-21
1
0
9
경제경제
김치프리미엄(김프) 실시간 김프가를 확인 할 수 있는 익스체인지 플러스(explus.co.kr, 익플)는 사이트 내 모든 암호화폐 가격 및 투자 관련 정보에 대해 어떠한 책임을 부담하지 않습니다. 디지털 자산 투자는 전적으로 스스로의 책임이므로 이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김치프리미엄(김프) 실시간 김프가를 확인 할 수 있는 익스체인지 플러스(explus.co.kr, 익플)는 사이트 내 모든 암호화폐 가격 및 투자 관련 정보에 대해 어떠한 책임을 부담하지 않습니다.
디지털 자산 투자는 전적으로 스스로의 책임이므로 이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29번길 10, 3층 (역삼동, 정안빌딩) | 퓨처스엔터테인먼트(주) | 박희성 | 270-88-03055
logo_black© 2025 익스체인지 플러스 - 익플,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