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나마 운하를 파나마와 마가의 합성어인 ‘파나-마가’(PANA-MAGA)로 표기한 지도가 실린 뉴욕포스트 기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SNS 캡처
중국이 파나마 운하를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다는 주장의 근거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목한 홍콩업체 CK 허치슨 홀딩스가 파나마 운하 항구 운영 지분을 미국계 글로벌 자산운용사 블랙록 컨소시엄에 매각한다고 로이터 통신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CK 허치슨에 따르면 파나마 운하 발보아 항구아 크리스토발 항구를 운영하는 자회사 파나타 포트 컴퍼니의 지분 90%를 블랙록 컨소시엄에 매각할 예정이다.
중국과 홍콩 지역을 제외한 23개국 43개 항만 사업에 대한 지분 80%를 포함한 기타 자산도 블랙록 컨소시엄에 넘긴다.
매각 지분과 자산의 가치는 228억달러(약 33조2000억원)로 합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CK 허치슨은 이날 매각 계획을 공개하면서 순수한 상업적 목적의 거래라고 밝혔지만 외교통상가에서는 다분히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이 거래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본다.
이번 매각 계획은 트럼프 대통령이 재집권 초반부터 파나마 운하에 대한 통제권을 되찾겠다고 압박을 가하면서 파나마 정부가 허치슨과의 운영 계약 해지를 검토하는 가운데 나왔다. 파나마 정부는 지난달 6일 중국의 일대일로(육상·해상 실크로드) 프로젝트에서도 탈퇴하겠다고 발표했다.
파나마 운하는 태평양과 대서양을 잇는 핵심 해운로로 미국이 파나마와 조약을 맺어 건설, 1914년 개통한 뒤 수십년 동안 관리·통제하다가 '영구적 중립성' 보장 준수 등을 조건으로 1999년 12월31일 파나마에 운영권을 넘겼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파나마 운하에서 손을 뗀 뒤 그 자리를 중국이 꿰찼다고 주장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0일 취임사에서 "막대한 자금을 들였고 건설 과정에서 미국인 3만8000명이 희생될 정도로 어렵게 완공한 운하를 파나마에 돌려준 것은 바보짓"이라며 운하를 환수하겠다고 밝혀 국제사회에 파문을 일으켰다.
허치슨이 파나마 운하 일부 지분을 매각하기로 하면서 운하 운영권을 둘러싼 갈등 국면에 새로운 해법이 모색될지 주목된다. 블랙록 컨소시엄에는 블랙록을 비롯해 글로벌 인프라스트럭처 파트너스, 터미널 인베스트먼트 등이 참여한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뉴욕=심재현 특파원 (urme@m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