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드랍 게시판 TOP5

경제 게시판
경제
11월 수출입 물가 두 달 연속 상승…국내 소비자 물가 자극할 듯
7
경제경제
12-13
조회수 3
추천 0


1천400원 대를 넘나드는 원·달러 환율 탓에 우리나라 수입 제품의 전반적 가격 수준이 증가했다.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진다면 향후 국내 소비자 물가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11월 수출입물가지수'를 살펴보면 지난달 수입물가지수는 139.03(2020=100)으로, 전달(10월·137.55)보다 1.1% 올랐다. 두 달 연속 오름세이며, 지난해 같은달 대비 3.0%올라 3개월 만에 상승 반전했다.


품목별로 한 달 사이 농림수산품(2.6%), 1차금속제품(1.9%), 석탄·석유제품(1.7%) 등에서 상승폭을 보였다.


이 같은 수입물가 상승은 국제유가 하락에도 원·달러 환율이 상승한 영향이다. 실제 10월 두바이유가는 배럴당 평균 74.94달러였지만, 11월에는 72.61달러로 3.1% 하락했다. 반면 원/달러 환율은 지난 10월 평균 1천361.00원에서 11월 1천393.38원으로 2.4% 뛰었다.


11월 수출물가지수는 130.59로 집계됐다. 지난달(128.54)보다 1.6% 높아지면서 두 달 연속 상승세를 보였고, 지난해 같은 달보다도 7.0% 올랐다. 환율이 상승하면서 석탄 및 석유제품 등이 오른 탓에 상승세를 보였다는 분석이다.


품목별로 석탄·석유제품(2.6%), 화학제품(1.3%) 등이 수출 물가를 끌어올렸다.


11월 무역지수(달러 기준)의 경우 수출물량지수(116.83)와 수출금액지수(131.16)는 1년 전보다 각각 1.4%, 0.3% 떨어졌다.


수입물량지수(107.40)는 0.5% 올랐지만, 수입금액지수(129.82)는 2.7% 내렸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92.88)는 지난해 같은 달 대비 4.5% 올라 17개월 연속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수입가격은 3.2% 내렸으나 수출가격은 1.1% 올랐기 때문이다.


소득교역조건지수(108.51)는 수출물량지수는 하락했으나 순상품교역조건지수가 올라 1년 전보다 3.0% 증가했다.


영남일보 이남영 기자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게시물과 관련없는 정치댓글 작성시 강력제재 이용정지 처리합니다.
분류
제목
경제
BEST🔥
테슬라: 일론 머스크, 중국 리스크 속에서도 반등 랠리를 이어갈 수 있을까?
(2)
2024-12-18
105
3
1
이더클고A련
경제
BEST🔥
마이클 세일러, 비트코인 추격 매수… “100만 달러 돼도 멈추지 않는다”
(6)
2024-12-16
305
65
7
경제경제
경제
BEST🔥
이더리움, 비트코인 따라잡을까? 4천달러 돌파가 관건
(3)
2024-12-16
153
22
7
코인
경제
尹 탄핵 심판 3차 변론 진행…헌정 사상 첫 대통령 직접 출석
(0)
N
2025-01-21
0
0
7
경제경제
경제
트럼프 "北김정은, 이제 '뉴클리어 파워'…내 귀환 반길 것"
(0)
N
2025-01-21
0
0
7
경제경제
경제
“소득은 그대로인데”…훌쩍 뛴 집값, 서울서도 양극화 더 커졌다
(0)
N
2025-01-21
0
0
7
경제경제
경제
위안화 기준치 1달러=7.1703위안…0.25% 절상
(0)
N
2025-01-21
0
0
7
경제경제
경제
"6개월간 22조 순매도" 삼성전자 외인보유율 50%선 위협
(0)
N
2025-01-21
0
0
7
경제경제
경제
"트럼프 2기 임기 시작"…코스피, 2540선 급등 후 하락 전환
(0)
N
2025-01-21
0
0
7
경제경제
경제
중국 BYD, 협력사 갑질? "대금 지급 미뤄 부채 줄였다"
(0)
N
2025-01-21
0
0
7
경제경제
경제
트럼프 정부효율화부 출범 공식화…공무원노조 등 강력 반발
(0)
N
2025-01-21
0
0
7
경제경제
경제
929조원! 지난해 ‘서학개미’ 투자액 역대 최대…전년 대비 68% 증가
(0)
2025-01-21
0
0
7
경제경제
경제
달러-원, 트럼프 관세 언급에 낙폭 축소…10.70원↓
(0)
2025-01-21
0
0
7
경제경제
경제
지난해 일평균 외환거래액 689.6억弗… 역대 최대치 경신
(0)
2025-01-21
0
0
7
경제경제
경제
'트럼프 2기 개막' 코스피 장 초반 상승 뒤 하락 전환
(0)
2025-01-21
0
0
7
경제경제
경제
[오전 시황] 외인 팔자에 하락하는 국내 증시…2차전지株 전일 상승분 반납
(0)
2025-01-21
0
0
7
경제경제
경제
[올댓차이나] 홍콩 증시, 미국 대중관세 우려 완화에 상승 개장…H주 0.48%↑
(0)
2025-01-21
1
0
7
경제경제
경제
[올댓차이나] 中 증시, 상승 개장 후 관망세로 일진일퇴…창업판 0.46%↓
(0)
2025-01-21
1
0
7
경제경제
경제
日 닛케이, 상승 출발…유럽 증시에 지지력
(0)
2025-01-21
0
0
7
경제경제
경제
"미국 황금기 시작하겠다" 트럼프 취임…그린뉴딜 종료·통상 개편 공언
(0)
2025-01-21
0
0
7
경제경제
경제
트럼프, 파리기후협정서 또 나간다…2017년 이어 두 번째
(0)
2025-01-21
0
0
7
경제경제
경제
트럼프 "보편관세 부과할 수 있어…아직은 준비 안 됐다"
(0)
2025-01-21
0
0
7
경제경제
경제
트럼프 입에 엇갈린 아시아 증시 희비 엇갈려[Asia오전]
(0)
2025-01-21
1
0
7
경제경제
김치프리미엄(김프) 실시간 김프가를 확인 할 수 있는 익스체인지 플러스(explus.co.kr, 익플)는 사이트 내 모든 암호화폐 가격 및 투자 관련 정보에 대해 어떠한 책임을 부담하지 않습니다. 디지털 자산 투자는 전적으로 스스로의 책임이므로 이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김치프리미엄(김프) 실시간 김프가를 확인 할 수 있는 익스체인지 플러스(explus.co.kr, 익플)는 사이트 내 모든 암호화폐 가격 및 투자 관련 정보에 대해 어떠한 책임을 부담하지 않습니다.
디지털 자산 투자는 전적으로 스스로의 책임이므로 이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29번길 10, 3층 (역삼동, 정안빌딩) | 퓨처스엔터테인먼트(주) | 박희성 | 270-88-03055
logo_black© 2025 익스체인지 플러스 - 익플,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