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1000개 아래로 떨어져
지난해 말 기준 전국 주유소가 2023년보다 1.3% 줄어든 1만875개로 집계됐다. 2004년 이후 20년 만에 1만1000개 선이 무너졌다. 경영난이 심해져 폐업하는 주유소가 늘어나는 가운데 전기차 확산으로 전망도 불투명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사진은 지난해 말 서울 시내의 한 주유소 모습. /연합뉴스
밀레니엄에 대한 기대와 걱정이 공존하던 1999년 말, 서울 시내 주유소 숫자는 819개에 달했다. 국내 등록 차량이 1000만대에 육박한 1990년대 중반부터 신규 주유소 설립을 막아온 각종 규제가 사라진 덕이었다. 그로부터 25년이 지난 작년 말 서울의 주유소 숫자는 당시의 절반 수준인 427개로 반 토막이 났다. 전국의 주유소 숫자 또한 20년 만에 1만1000개 아래로 떨어졌다. 지난 한 해 서울에서만 17만5800여 대, 전국적으로는 163만5500여 대의 신차가 등록됐지만, 주유소가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주유소 사장=동네 부자’는 옛말이 됐고, 주유소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경영난은 심각해지고 있다. 지난해 모터를 같이 쓰는 하이브리드차 판매가 가솔린차에 육박하고, 전기차가 디젤차보다 많이 팔리는 현실에서 주유소의 전망은 더 어둡다. 셀프주유소로 전환하거나 대형화를 통해 활로를 찾으려는 시도도 있지만, 단기적인 해결책일 뿐 중장기적으로는 주유소 감소 추세를 거스르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그래픽=이진영
주유소 숫자, 20년 전 수준으로 회귀
16일 한국석유관리원과 한국석유공사, 한국주유소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전국 주유소 숫자는 전년 대비 1.3%(148개) 감소한 1만875개로 집계됐다. 2004년 1만1123개를 기록한 이래 20년(2004~2023년) 동안 지켜온 1만1000개 선이 무너진 것이다.
‘마이카’가 본격화된 1990년대 초반, 전국적으로 3000개 수준이던 주유소 숫자는 1995년 ‘주유소 거리 제한 완전 철폐’, 1997년 ‘유가 자유화’를 거치며 급속도로 늘어나기 시작했다. 해마다 10% 안팎에 이르는 고성장 속에 1998년 처음으로 1만개 고지에 올랐고, 2000년대 들어서도 꾸준히 늘면서 2010년 1만3000개를 넘어 정점을 찍었다.
하지만 포화 우려가 나오면서 주유소 업계는 곧바로 내리막길로 돌아섰다. 경쟁이 격화되며 영업이익률은 떨어졌고, 버티지 못한 주유소들은 하나둘 문을 닫기 시작했다. 많을 때는 한 해 250개 이상, 적을 때도 연간 100개 가까이 사라졌다. 주유소협회 관계자는 “1990년대 초반엔 주유소 평균 영업이익률이 18%에 달했지만, 주유소가 1만1000개를 넘어선 2000년대 중반 이후엔 4% 안팎으로 줄었다”며 “2010년대 이후엔 1%대로 떨어지면서 경영난이 심각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경쟁은 심화…소비자는 똑똑해져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소비자는 더 똑똑해졌다. 스마트폰이 빠르게 보급되며 운전자들이 실시간 가격 비교에 나서자 주유소들 사이에선 출혈 경쟁이 불가피해졌다. 주변 주유소에 맞춰 가격은 하향 평준화됐고, 그만큼 마진율은 박해졌다. 이러는 사이 주유소 아르바이트생의 인건비를 결정하는 최저임금은 가파르게 올랐고 수익성은 더 나빠졌다. 주유소 기름 값이 너무 비싸다며 이명박 정부에서 시작한 알뜰주유소 사업도 현장의 부담을 키웠다. 한 정유업계 관계자는 “의욕 있는 사장님들은 셀프로도 바꾸고, 주변 주유소를 매입해 대형화하는 식으로 자구책을 찾지만 쉽지 않다”고 말했다.
영업이익률 1%대…임대가 나아
정기예금 이자율에도 못 미치는 1%대 영업이익률이 고착화하면서 다른 사업 기회가 많은 대도시 도심 주유소일수록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2010년 말 506개까지 늘었던 부산 주유소 숫자는 지난해엔 346개로 쪼그라들었고, 같은 기간 대구도 459개에서 350개로 급감했다.
주유소업계 관계자는 “도심 목 좋은 자리에 단층짜리 주유소를 운영하기보다는 빌딩을 세워 임대 수익을 벌거나 다른 사업을 하는 게 훨씬 이익”이라고 말했다. 직장인과 관광객이 몰리며 식당, 커피숍 등이 붐비는 도심에서 주유소는 더는 어울리지 않는 업태가 된 것이다.
부지 정화 비용 등이 부담스러워 억지로 영업을 이어가는 주유소들까지 더하면 이미 정상적으로 영업하는 주유소는 1만 곳도 안 된다는 진단이 나온다. 정부가 기름값을 정하던 1990년대 중·후반 수준에 그치는 것이다. 심재명 주유소협회 이사는 “폐업을 위한 비용이 평균 1억원에 이르다 보니 휴업을 반복하며 버티는 곳도 협회 추산 900~1000개에 이른다”고 말했다.
조재희 기자 joyjay@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