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12일(현지시간) 장중 내내 큰 폭의 변동성을 보인 끝에 보합권에서 마감했다. 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서 투매 물량이 쏟아졌지만 저가 매수세가 낙폭을 빠르게 줄였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25.09포인트(0.50%) 밀린 4만4368.56에 거래를 마감했다.
S&P(스탠다드앤푸어스)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6.53포인트(0.27%) 내린 6051.97에, 나스닥종합지수는 6.09포인트(0.03%) 오른 1만9649.95에 장을 마쳤다.
물가 지표에 흔들린 하루였다. 미 노동부가 발표한 1월 미국 CPI의 전품목 수치와 근원 수치가 모두 예상치를 웃돈 것으로 나타나면서 시장이 충격을 받았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1월 CPI는 전월 대비 0.5%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3년 8월의 0.5% 상승 이후 최대치로 시장 예상치 0.3% 상승도 웃도는 수치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도 이날 미 연방하원 청문회에서 CPI 수치를 언급하면서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뜻을 재확인했다. 시장에서는 올해 금리인하가 많아야 한차례에 그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한 가운데 1월 CPI 수치가 금리인하 기대감을 더 꺾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6월까지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이 전날 마감 무렵 50.3%에서 66.7%까지 급등했다. 현재 흐름으론 9월은 돼야 연준이 0.25%포인트 금리인하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시장 충격에도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주가지수는 빠르게 낙폭을 줄였다. 개장 당시 -1% 수준의 하락률을 보이던 주가지수는 오후 들어 약보합권까지 낙폭을 좁혔다.
대형 IT주는 등락이 엇갈렸다. 애플과 메타, 테슬라는 강세를 보인 반면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알파벳은 하락했다. 메타는 이날도 강세를 보이면서 18거래일 연속 상승 기록을 세웠다. 나스닥100 지수 종목 중 역대 최장기간 연속 상승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 휴전 협상을 즉시 시작하기로 합의했다는 소식에 원유 공급이 원활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에너지 업체 주가는 동반 하락했다. 엑손모빌이 -3.01%, 셰브런은 -1.61% 하락했다.
머니투데이 심재현 기자